[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내년에 2026학년도 입시를 치를 고교 2학년 학생들에게도 그 불똥이 튀고 있다.
2025학년도의 경우 이미 재외국민 특별전형을 시작으로 대입전형이 진행 중이어서 사실상 의대 증원이 확정됐지만 의정 갈등이 더 길어질 경우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이 다시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교육부는 최근 `초등 의대반` 등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학원 광고가 많다며 점검에 나서는 등 의대 증원이 사교육을 자극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지만, 학생·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입시 `불확실성`이 학원을 찾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28일 교육계에 따르면 의정 대치가 길어지면서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이 기존에 발표한 5천58명에서 다시 축소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앞서 정부는 의대 증원 정책 발표 초기에 `2천명`의 증원 규모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강경한 입장이었다.하지만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사직 사태가 장기화하자 정부는 대학 총장들의 입장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2025학년도 증원폭을 한시적으로 1천500여명으로 조정했다.이후에는 2025학년도 정원의 경우 이미 입시가 시작돼 되돌릴 수 없다면서도 의료계가 `통일된 안`을 들고나올 경우 2026학년도 증원 규모는 논의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최근 학생·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올해 고3 학생들이 겪은 의대 입시 혼란이 2026학년도로 고스란히 옮겨갔다는 지적이 나온다.수험생 커뮤니티에서는 `이런 상황이 앞으로 5년 동안 반복되는 것이 아니냐`, `올해 상황을 보면 내년에도 많은 변수가 생길 것 같다`, `올해의 혼란한 입시판이 내년에도 이어지겠다`라는 등의 한숨 섞인 목소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이러한 상황에 N수생 유입 가능성이 커지면서 지난해 수능에 이어 올해 6월 모의평가의 난도가 상당히 높았던 것 역시 수험생들의 불안을 자극한 모양새다.불안한 학생·학부모들은 사교육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정부가 최근 의대 증원을 틈타 `초등 의대반` 등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학원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지만,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수험생의 혼란을 부추기는 `입시 불확실성`이 학원을 찾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