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원전민간환경감시위원회(이하 감시위, 위원장 임광원)가 신규 원전에만 국한해 조사할 것이 아니라 한국수력원자력에 국내 모든 원전납품부품의 전수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민간단체가 특별조사단 구성을 통한 원전의 투명한 검증을 하고 나섰다.
감시위는 지난 28일 긴급 운영위원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 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 했다.
이번 긴급회의는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신규 가동·건설원전에 대한 안전계통 제어케이블 시험성적서 위조사건’ 발표에 따른 것.
건설 원전에 안전계통 제어케이블을 납품하기 위해선 반드시 공인검증사의 검증확인을 받아야 하는 절차에 따라 해당 납품업체는 국내 공인검증사에 의뢰했다.
국내 공인검증사는 일부 검증 항목에 대해 해외검증사에 재 의뢰하는 과정에서 해외검증사로부터 제어케이블 시험결과가 ‘불합격’ 판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인검증사에서 시험결과보고서를 임의로 ‘합격’으로 위조해 납품했다는 것이다.
운영위는 “이번 불량부품 사건은 원전안전성과 직결되는 안전계통 부품이 해외검증사로부터 국내공인검증사가 시험결과보고서를 위조해 납품한 것”으로 “이는 원전안전 관리체계에 구멍이 뚫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운영위는 ‘한울원전을 비롯 국내 전 원전에 대한 전수조사’를 포함해 강력하게 대응해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감시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를 엄격히 확인하고 감시해야 하는 공기업인 한국전력기술(KEPCO E&C)과 한수원이 해외검증사로부터 원본 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아 관련 위조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 자체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고 “국내 모든 원전에 납품된 부품에 대한 전수조사 실시와 함께 국내 공인검증사에서 그동안 수행한 검증 품목에 대한 검사항목에 거짓이 없었는지 여부도 투명하게 밝혀줄 것”을 촉구했다.
또 감시위는 “지난 2012년 11월 5일 발생한 국내원전 부품 품질검증서 위조사건과 마찬가지로 이번 사건도 외부 제보에 의해 드러났다”며 “당시 정부와 한수원이 제시한 재발방지대책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민·관 합동조사단에 의한 결과가 형식적이었음을 반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품질검증서 위조사건에 따른 원자력안전위원회 ‘민·관 합동조사단’에 울진 지역대표 3명이 직접 참여하해 “본 조사단의 구성과 조사 범위는 해외품질검증서 위조 부품에 대해서만 국한하여 조사하는 것으로서, 국내원전의 안전성 강화와 구조적 비리를 완전히 척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원전에 대한 안전계통 관련 부품의 전수조사와 특히 국산화 첫 적용 설비(유리화설비, RCP, MMIS)에 대해 외부전문가를 포함한 특별조사단을 구성해 제로베이스에서 투명하게 검증할 것”을 수차례에 걸쳐 요구한 바 있다.
이에 감시위는 사건과 관련해 정부와 한수원에 신규 원전에만 국한해 조사할 것이 아니라, 국내 기 건설·운영되고 있는 전 원전에 납품된 부품에 대한 전수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같은 요구에 대해 원안위는 특별조사단 구성 요인과 방법 등을 이유로 현재까지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감시위는 이와 함께 “외부제보자에 의해서만 밝혀지고 있는 원전관련 비리에 따른 한수원의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키 위해서는 제도개선·처벌강화 등, 원전안전 확보를 위한 부조리가 반드시 근절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의 특단의 조치를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한편 원전 무더기 중단 사태를 촉발한 시험 성적서가 위조된 케이블을 제작한 JS전선(005560)이 신한울 1·2호기에도 제품을 공급하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JS전선이 APR 1400 모델인 신한울(옛 신울진) 1·2호기용 케이블도 납품하기로 계약돼 있다고 30일 밝혔다.
37개 품목이며 아직 납품되지 않았다. 수량은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