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시작됐지만 전공의들은 수련병원 대신 개원가로 몰리고 있다. 일부는 해외 진출, 입대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사직 전공의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면서 일반의(GP) 취업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입대 역시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23일 의료계에 따르면 사직 처리된 전공의 대다수가 올해 하반기 수련에 복귀하지 않고 미용병원이나 요양병원 취업, 미국 의사 면허 취득 등 `새로운 길`을 찾는 데 집중하고 있다.지난 17일까지 전체 수련병원 전공의 1만3천531명 중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된 인원은 7천648명(56.5%)으로, 이들은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응시할 수 있지만 상당수는 수련을 재개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지역의 한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 A씨는 "일단 GP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 보고 수련을 이어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우선은 대학병원 말고 1, 2차 병원에서 적절한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일하고 싶다"고 말했다.사직한 전공의들은 수련을 완전히 마치지 않은 탓에 전문성을 살려서 취업하기는 쉽지 않다. 그나마 몇 년간 수련한 고연차 전공의들은 전공을 살려 취업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수련 기간이 짧은 저연차의 경우 구직하기가 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의료계의 전언이다.의사들은 통상 인턴 1년과 진료과목을 정한 레지던트 3∼4년 등 전공의로 수련을 마친 뒤 과별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다.더욱이 사직 전공의들이 한꺼번에 개원가로 쏟아져 나오다 보니 연봉이 떨어지는 건 물론이고 적절한 자리를 구하기도 어렵다.일부 병원에서는 `오래 일할 사람`을 선호해 사직 전공의들을 꺼리기도 하고,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전문의 자격이 없는 전공의를 받는 데 난색을 보이는 경우도 더러 있다.현재 구직 중이라는 한 사직 전공의 C씨는 "미용 쪽은 면접 기회도 잘 주어지지 않는다"며 "아무래도 병원에서는 대부분의 사직 전공의를 머지 않아 돌아갈 사람이라고 생각해 뽑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개원가도 전공의들에게 어떤 역할을 맡길 수 있을지 고민이 깊다.서울 시내 한 성형외과 개원의는 "선배들이 사직 전공의들을 도와야 하지만 아무래도 각 진료과가 필요로 하고 원하는 인력은 정해져 있다"며 "과별로 특성이 달라서 당장은 맡길 수 있는 게 제한적일수밖에 없다"고 말했다.국내가 아닌 해외로 눈을 돌리는 전공의들도 적지 않다.이미 구직을 완료했다는 사직 전공의 D씨는 "이미 아르바이트 자리를 구해 근무 중이지만 미국 의사 면허를 따는 걸 고민했었고, 실제 주위에서도 많이 준비하는 중"이라며 "관련 세미나가 매달 열리고 참석자도 많은 걸로 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