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앞으로 20년 후 대구의 15세이상 인구가 26만명, 취업자 수는 29만1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17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산업별 인력 현황 분석 자료를 보면 2043년 대구의 15세 이상 인구는 184만3000명으로 2023년(210만3000명) 대비 12.4%(26만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령별로는 60세 이상 50.3%, 40~59세 28.5%, 15~39세 21.2% 순으로 인구구조가 종 모양에서 역피라미드로 변화한다.60세 이상 비중은 2023년 대비 19.5%p 증가한 반면 15~39세는 11.5%p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2043년 대구의 취업자 수는 2023년(123만6000명)보다 29만1000명(23.5%) 줄어든 94만5000명이며, 연령별로는 40~59세 43.1%, 60세 이상 27.7%, 15~39세 24.7% 순이었다.지난해 대구의 산업 부족 인원은 1만5056명으로 10년 전보다 3199명 증가했으나 산업인력 부족률은 2.1%로 0.8%p 감소했다.산업별로는 제조업 3814명, 도매·소매업 2332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 2032명, 숙박·음식점업 1621명, 운수·창고업 1066명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2023년 대구 고용률은 59.6%로 10년 전보다 1.6%p 증가했으나 전국 평균(62.7%)에는 못미쳤다.
경북의 2043년 15세 이상 인구는 220만명으로 2023년(234만5000명) 대비 14만5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연령별로는 60세 이상 37%, 40~59세 34.8%, 15~39세 28.1%로 60세 이상 비중이 10년 전 대비 10.7%p 증가한 반면 15~39세는 8.5%p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2023년 경북의 산업 부족 인원은 2만3964명으로 10년 전보다 1만378명 증가했으며 산업별로는 제조업 1만1750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 3199명, 도매·소매업 2226명, 숙박·음식점업 1940명, 교육 서비스업 814명 순이었다.2023년 경북 고용률은 64.4%로 10년 전보다 1.5%p 증가해 전국 평균(62.7%)보다 1.7%p 높았다.동북지방통계청 측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산업 인력 부족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