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이대로라면 전공의들은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며 "의료 공백을 해소하려면 사직 시한을 정해 전공의를 압박하는 대신 지금이라도 정책을 바로세워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이들은 "교수들이나 병원은 다음 대책이 없다"며 "내년까지 저희가 이 자리에 있을지 몹시 회의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호소했다.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께 드리는 의견`을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주장했다.이날은 정부가 전국 수련병원에 전공의 사직을 최종 처리하라고 요청한 `디데이`다.비대위는 "정부가 전공의 복귀를 끌어내기 위해 (미복귀 전공의에게) 행정 처분을 하지 않기로 하고 수련 특례도 마련했지만, 이러한 조치로는 돌아오게 하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들은 서울대병원 사직 전공의 95%가량은 의사에 변함이 없는 것으로 추정했다.그러면서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것은 일방적이고 불합리한 정책 추진 강행에 대한 항의의 표시였는데 그 정책은 바뀌지 않았고, 정책 결정 과정 역시 여전히 일방적이고 불투명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교수들은 조 장관에게 "사직 시한을 정해 전공의를 압박하는 대신 지금이라도 정책을 바로 세우고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정책을 결정해 달라", "사직을 선택한 전공의의 사직서 수리 일자는 전공의 의사를 존중해 결정해 달라"고 요구했다.병원 집행부에는 "`일괄 사직 처리`와 같은 본인 의사를 존중하지 않는 폭압적인 처사를 하지 않을 것이라 믿는다"며 "합리적 결정을 내려 달라"고 전했다.비대위는 `사직 처리 이후의 대책`에 대한 질문에 "대책이 없다. 교수들이나 병원은 더 이상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며 "현 상황을 유지하는 수밖에 없는데 유지가 아니라 사실 의료 현장이 다 가라앉고 있는 것"이라고 호소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