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우동기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장<사진>은 15일 "대구·경북 행정통합과 관련해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생각이 다른 것이 없다"며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1%로도 안될 수 있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이날 대구 남구 이천동 대구아트파크에서 열린 대구·경북 중견언론인모임 `아시아포럼21` 초청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일부 지역의 반대도 있겠지만 시·도가 마음을 모으고, 국가와 중앙정부가 도와준다면 현재 도청(경북 안동)에서 누리는 경제유발효과는 충분히 누릴 수 것"이라고 했다.대구·경북 통합자치단체를 출범시키기 위한 촉매제로 정부와 대구시, 경북도 등이 올해 안 특별법 제정에 합의하는 등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속도전`을 두고 `너무 성급하게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변수가 있다"면서도 합의대로 진행될 것이라는 취지로 말했다.정부와 대구시, 경북도 등의 합의안에 따르면 대구경북 통합자치단체는 연내 특별법 제정 후 2026년 7월 1일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우 위원장은 "특별법을 만드는데 야당의 협조라든지 이런 부분도 변수가 될 수 있겠지만 지방 행정 개편 문제는 여야간에 쟁점이 없지 않느냐"며 "다만, 특별법에 다른 자치단체에 갈 몫을 이쪽에서 당긴다고 하면 반대가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정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우 위원장은 "주민 동의를 받는 방법은 여론조사가 상당히 압도적이니, 의회 의결을 거치면 될 것"이라며 "주민투표는 예산이 굉장히 많이 든다"고 말했다.앞서 지난달 4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우동기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지사는 정부 서울청사에서 만나 2026년 7월1일 대구·경북 통합자치단체를 출범시키기 위해 올해 안에 특별법 제정에 대한 절차를 이행하기로 합의했다.또 정부가 통합의 직·간접 비용 지원과 행정·재정적 특례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통합지원단`을 구성해 대구·경북 통합 지원 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