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29일 경상남도의 진주의료원 폐업에 대해 그동안 `불개입 원칙`에서 벗어나 대책 마련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중앙정부 뿐 아니라 국회 차원에서도 공공의료원 전반에 대한 개선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진주의료원 사태는 정치적 이슈로 변질됐다"면서 "의료 본연의 효율성 문제와 보건의료 측면에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여당 일각에서는 국회 차원의 `공공의료특위`를 구성해 전국 34개에 달하는 공공의료원의 경영실태를 파악하고, 저소득층 의료서비스 체계를 점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진주의료원 폐업이 공론화된 지난 3개월 동안 새누리당은 `지방의료원 경영 문제는 지방의 고유권한`이라는 논리로 직접적인 개입을 삼갔다.
그러나 진주의료원 폐업이 보건의료 문제 전반으로 확대될 경우, 이 같은 기존 방침에서 선회해야 한다는 당내 목소리도 높아질 것으로 보여 추이가 주목된다.
이는 새누리당 소속인 홍준표 경남지사가 폐업을 강행하면서 보건의료노조와 야권, 시민단체가 결집하고 여권에 대한 공격 빌미를 제공했다는 우려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적자누적을 이유로 공공 의료기관이 문을 닫을 경우, 사회적 약자를 외면했다는 비판을 받을 개연성도 염두에 뒀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 고위 당직자는 "경남도가 당이나 정부 의견은 크게 경청하지 않고 일을 진행하는 것 같다"면서 "우리가 무작정 폐업을 원하는 것도 아닌데 책임은 여권이 모두 뒤집어쓰게 생겼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러나 국회 보건복지위 새누리당 간사인 유재중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앞으로 지방의료원에 대해서는 정밀하게 파악해봐야 한다"며 제도개선책을 모색하면서도 진주의료원 사태해결을 위한 국회 차원의 특별위원회 구성에는 반대 입장을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