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10일 한일 역사 교과서 집필자들이 사상 처음으로 한자리에 앉았다.이 자리에서는 현재 한일 간 위안부, 독도 문제 등으로 첨예한 역사 갈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일 공동역사 교재 개발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나와 큰 울림을 주고 있다.동북아역사재단은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와 공동으로 이날 재단 대회의실에서 `한일 역사교육 포럼`을 열었다.재단 박지향 이사장은 "이번 포럼이 한일 교과서 집필자들의 첫 번째 만남이라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며 "양국 교과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건설적인 대안을 찾아가는 역사 대화의 첫발을 내딛는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포럼은 일본에서 채택률이 높은 검정 교과서 출판사의 집필진과 한국의 주요 교과서 집필진 총 16명이 참석했다.세션1에서는 일본의 하네다 마사시(羽田正) 명예교수(도쿄대 도쿄컬리지)는 일본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기본구조와 문제점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이번 포럼에서 가장 민감하고 파격적인 주제를 던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정재정 명예교수(서울 시립대)는 한일 공동역사 교재 개발의 회고와 전망에 대해 심도 있게 다뤘다.가키누마 료스케(柿沼亮介) 교사(와세다대학고등학원)는 역사교육의 ‘지역사’와 ‘전체사(全體史)’, 윤종필 교수(동국대)는 제국주의와 역사에서의 도덕적 판단 문제를 발표했다.세션2에서는 동아시아사 관점에서 고대 한일 교류 서술에 대해 니토 아쓰시(仁藤敦史) 교수(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가 고대 한일관계사와 교과서 기술에 대해 살펴봤다. 한성대의 이재석 교수는 교과서 `동아시아사` 속의 고대사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이어진 세션3에서는 사토 유키(佐藤雄基) 교수(릿쿄대)가 전근대사 파악을 위한 핵심 개념들이 학생들의 역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분석했다.나라 가쓰지(奈良勝司) 교수(히로시마대)는 새로 개편한 일본 교과서 `역사총합`에서의 근세에 대해 냉철한 시선으로 짚어갔다.마지막 세션4에서는 일선 교단의 한일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참여했다.이들은 역사교육 현장의 시점에서 교과서 집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꺼내 들었다. 가이조 중고등학교의 와타나베 히로아키(渡邉宏明)교사는 중학생을 위한 교과서 집필 경험을 바탕으로 의도와 과제를, 고려대 사대부고의 방대광 교사는 역사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이 교과서 구성과 서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각각 발표했다. 이 세션은 교사들이 현장에서 겪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교과서 집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박지향 이사장은 "재단은 이번 포럼을 통해 한일 양국 역사 교과서 집필자들이 학생들에게 보다 좋은 역사 교과서를 제공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고민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됐기를 기대한다"고 밝히면서 "재단은 앞으로도 한일 교과서 집필진 모임을 지속해서 개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