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지난 2월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후 이어져 온 의정 갈등이 결국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상반기를 넘겼다.
`빅5` 병원으로 불리는 대형병원 교수들의 집단 휴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 주에는 환자 단체가 의사들의 집단 휴진에 반발하는 집회를 열면서 사태 해결을 촉구할 방침이지만, 의료계도 정부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뾰족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1일 의료계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지난달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데 이어 오는 4일에는 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의 일주일 휴진이 예정돼 있다.세브란스병원은 일부 교수들이 개별적으로 진료를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휴진하면서 현장의 혼란이 크지는 않았다. 병원 측은 지난주에 대규모 휴진이 없었던 만큼 이번 주에도 대부분의 진료과목이 정상 운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의 휴진 역시 대규모 진료 차질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의료계의 예상이다.세브란스병원과 마찬가지로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휴진하더라도 입원 환자와 응급·중증 환자 등 필수적인 분야의 진료는 유지한다.단 혼선이 크지 않더라도 당장 진료와 시술·수술을 앞둔 환자들은 교수들의 휴진이 언제까지 이어지느냐에 대한 불안이 큰 상황이다.이처럼 대형병원 교수들의 휴진에 더해 이달 26일에는 전국의 의사들이 모여 의료정책을 논하는 `올바른 의료 정립을 위한 대토론회`가 열릴 예정이어서 또다시 휴진이 벌어질 전망이다.대한의사협회(의협) 산하 범의료계 협의체인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는 지난 주말 2차 회의를 열고 오는 26일에 의사 전 직역이 참여하는 대토론회를 열겠다고 예고했다. 이들은 공식적인 휴진을 결의하진 않았으나, 토론회에 참여하려는 의대 교수와 개원의 등은 진료를 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환자들도 거리로 나가서 신속한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겠다는 입장이다.한국환자단체연합회 등 92개 환자단체는 이달 4일 서울 보신각 앞에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 방지법 제정 환자촉구대회`를 열겠다고 예고했다.의정 대화가 진전될 기미도 보이지 않고 환자들마저 거리로 나가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정부는 현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서라도 이번 주 중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처분을 정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