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오는 11월 14일 시행된다. 출제 당국은 올해에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할 방침을 세운 가운데 의대 증원에 따른 `N수생` 확대가 난이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는 11월 14일 시행되는 `2025학년도 수능 시행 세부 계획`을 30일 공고했다.출제를 담당하는 평가원은 지난해 6월 교육부가 발표한 `사교육 경감 대책`에 따라 `킬러문항`을 철저히 배제하고, 공교육 범위에서 적정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출제하겠다고 밝혔다.올해 수능에서는 N수생이 얼마나 가세할지, N수생의 증가가 난이도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발휘할지 여부에 시선이 쏠린다.정부가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작년보다 1천509명을 늘리기로 하면서 `의대 열풍`이 더 거세지면서 입시업계에서는 N수생이 급증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학력 수준이 고3 재학생보다 더 높은 N수생이 늘어나면 `물수능`을 피하기 위해 평가원이 문제를 어렵게 출제할 가능성이 크다. 고3 재학생 입장에서는 킬러문항을 출제하지 않는다는 평가원의 방침에도 실제 체감 난도가 훨씬 높아질 수 있는 셈이다.올해 수능 시험 영역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작년과 같다.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통합 수능` 체제에 따라 국어·수학 영역에는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수험생들은 국어에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해야 한다. 수학에서는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선택해 시험을 본다. 사회·과학 탐구 영역에서는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가운데 최대 2개, 직업 탐구 영역에선 6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에도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 평가로 치러진다.EBS 수능 교재·강의와 수능 출제 연계는 `간접` 방식이 유지된다.연계율 자체는 영역/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50% 수준을 유지한다.수능 응시원서 작성과 접수·변경은 시험지구별로 8월 22일부터 9월 6일까지다.성적 통지표는 12월 6일까지 배부된다. 재학생은 재학 중인 학교에서, 졸업생이나 검정고시 수험생은 원서를 접수한 기관에서 받을 수 있다. 수능 응시 수수료는 `4개 영역 이하`를 응시할 경우 3만7천원, `5개 영역` 4만2천원, `6개 영역` 4만7천원이다.천재지변, 질병, 수시모집 최종 합격, 입대 등의 사유로 수능에 응시하지 않은 수험생에게는 11월 18일부터 22일까지 신청을 받아 응시 수수료 일부를 환불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