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내달 하순 중국을 국빈 방문할 예정인 가운데 지난 2005년 첫 중국 방문과 이번 방중간 유사점이 눈길을 끈다.
◇ 북핵으로 촉발된 한반도 안보위기 `데자뷰` =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이 데자뷰(기시감)를 불러일으킨다.
북한은 2005년 2월 핵무기 보유를 공식 선언했다. 5월11일에는 영변 5㎿ 원자로에서의 폐연료봉 8천개 인출 완료를 발표하면서 `핵위기`는 한층 고조됐다.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 대표이던 박 대통령은 한반도 안보 위기 속에서 중국 공산당 초청으로 같은 해 5월23일 중국 방문길에 나섰다.
`북핵 초당외교`에 방중 목적을 둔 박 대통령은 첫날부터 왕자루이(王家瑞) 공산당 대외연락부장과 탕자쉬안(唐家璇)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만나 북한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역할을 거듭 당부했다.
8년이 지난 지금도 상황은 비슷하다. 북한은 2월12일 제3차 핵실험 실시 이후 개성공단 가동중단, 단거리 발사체 사흘 연속 발사 등으로 도발을 계속해 왔다.
박 대통령은 이번 방중에서 역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15일 언론사 정치부장단 만찬에서 "북한을 변화시키는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핵이 북한을 지켜준다는 환상을 접도록 하는데 시진핑 총서기 등과 적극적으로 얘기를 나눠볼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 `밥상론`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 대북 전략도 유사하다.
2005년 방중 당시의 박 대표는 `밥상론`을 설파했다.
방중 두달 전 미국 방문시 처음 공개한 `밥상론`에 대해 박 대통령은 "서양에선 음식이 단계적으로 나오지만 한국은 밥상에 밥, 국, 반찬, 찌개 등을 다 올려 놓고 (한꺼번에) 먹으며, 비빔밥의 경우 전부 섞어서 먹기도 한다"면서 "북핵 문제도 그런 식으로 가면 북한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즉, 북한이 핵을 포기할 경우 얻게 되는 체제안전보장과 `북한판 마셜플랜` 등 이득과 핵포기를 거부할 경우의 불이익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놓고 북한으로 하여금 전략적 선택을 하도록 만들자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당시 방중 기간 기자간담회에서 "핵 포기시 어떤 인센티브가 주어지는지, 또 핵개발 강행시에는 어떤 냉엄한 현실이 기다리는지 제시하자는 소위 `밥상론`에 대해 중국도 동의하는 것을 느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번에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북한이 핵을 버리고 도발을 중단하는 `올바른 선택`을 하면 대북지원과 나아가 경제공동체 건설 등의 화해정책을 적극 펼치겠다는 인센티브 및 유연성을 가미한 정책이다.
북한의 선택에 따라 좋거나 나쁜 결과가 올 수 있다는 점에서 8년전 제시한 `밥상론`과 기본적으로 맥을 같이 한다.
◇ 中 공산당 초청한 야당 대표 vs 시진핑 초청 첫 女대통령 = 박 대통령은 8년 전 야당 대표로서 중국 공산당의 초청으로 중국을 찾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대한민국 최초 여성 대통령 자격으로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을 받아 중국을 국빈 방문 한다는 차이가 있다.
또 8년 전 동행했던 권영세 당시 한나라당 의원이 이번 국빈방문에는 주중 대사 자격으로 박 대통령을 영접하게 된다는 점도 흥미로운 대목이다.
◇ 朴대통령-시주석 `인연` 2005년부터 시작 = 박 대통령과 시 주석과의 인연도 8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 주석은 박 당시 대표의 방중 두 달 뒤인 2005년 7월 저장(浙江)성 당 서기의 신분으로 한국을 방문했을 때 만나고 싶다는 뜻을 전해왔고, 박 대표도 시 당서기가 중국의 차기 지도자감이라는 주변의 조언에 따라 지방 일정을 미룬 채 면담에 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시간여가 넘게 계속된 첫 만남에서 시 주석은 새마을운동에 관심을 보였고 박 대통령이 다음날 시 주석 출국시 관련 자료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인지 시 주석은 지난 3월 박 대통령에게 보낸 장문의 친서에서 "2005년 7월 한국 방문 때 박 대통령과 만났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이후에도 시 주석과의 인연을 이어갔다.
특히 시 주석이 2010년10월 제17차 당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당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올라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후계로 사실상 확정되자 유력 대권주자 신분이던 박 대통령은 중국 대사관을 통해 시 주석에게 축전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간의 `끈끈한` 인연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