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3일부터 2일간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3층 대회의실에서 한·중·러·일 학자들과 최근 급속히 악화된 동아시아의 정세를 돌아보고 상생과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경북도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동아시아의 해양거점을 통한 문화의 이해와 통합`이라는 주제로 각국의 관련 학자들이 학제적 소통을 통해 국가와 민족을 넘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자세와 상생적 질서를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는 첫 날 기조강연에서 "북한의 핵무장화, 일본의 우경화, 중국의 민족주의 부상 등으로 급격히 영토문제가 부상하는 등 동북아지역은 현재 심각한 위기 상태"라고 진단하며 "영토문제 해결을 위해 관계 국가 간 존재하는 문제와 관련한 조약·협정·선언·공동성명을 중시 그것을 철저히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문제가 되는 섬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 양상을 포함 섬을 현상 유지 하고, 섬과 그 주변 해역의 해저 자원을 대립하는 관계국의 이해관계를 50대50 수치적, 기계적 방법으로 나눌 것이 아닌 상호 조화점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독도문제는 일본은 연합국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체결했지만, 한국의 독립 승인에 관계되는 법적 절차가 완성됐다고 말할 수 없으며, 1965년 체결된 한일 기본조약도 영토문제는 언급되지 않아, 광복 70주년,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인 2015년에 영토획정 협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틀간 진행된 학술대회에서는 기조강연 외에 11명의 한·중·러·일 학자들이 이틀간에 걸쳐 주제발표와 토론에 이어 종합토론도 이어졌다.
한편 최종환 경북도 환경해양산림국장은 "세계는 경제적·문화적 통합의 시대라고 하지만, 최근 동아시아 지역에 신민족주의의 부상하는 등 영토와 경계를 둘러싼 대립이 상존하는 상황으로, 경북도는 국제 학술대회를 더욱 발전시켜 평화와 협력의 동북아 시대를 여는데 힘을 쓸 것"이라며,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바로 알 수 있는 이론적 학문적 연구와 접근도 강화해 나갈 것" 이라고 강조했다. 신영길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