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지도부 일신을 계기로 정국 주도권 확보에 고삐를 당기고 있다.
새누리당은 그동안 `윤창중 성추행 의혹`, 5·18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논란, 국정원 정치개입 의혹 등 각종 대외 악재 때문에 야당의 대여공세를 막아내기에도 급급한 처지였다.
그러나 황우여 대표의 `2기 체제`가 구축되고 최경환 신임 원내대표가 선출되면서 공격적인 이슈 제기를 통해 종전의 수세적 국면을 전환하는 동시에 경제민주화와 통상임금 등 쟁점이 산적한 6월 임시국회 정국을 주도하겠다는 전략을 가다듬고 있다.
새 지도부가 꺼내 든 카드는 `성장`과 `상생`이다.
당장 시급한 현안인 경제살리기에 초점을 맞춰 성장정책을 쏟아내는 동시에 `갑을(甲乙) 상생`을 내세워 민주당의 `을(乙)지키기` 프레임에서 벗어나겠다는 것이다.
최 원내대표가 새누리당의 3대 과제 중 첫 번째로 `경제활력 회복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꼽으면서 `창조경제·일자리 창출 TF`를 구성하기로 한 데에도 이런 전략이 깔린 셈이다.
새누리당은 나아가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활동을 촉진하는 법안을 잇따라 발의하겠다는 방침이다. 23일에는 인천에서 현장 최고위 회의를 열어 인천 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경제민주화 입법의 경우, 민주당이 선점한 `갑을 논쟁`을 편가르기로 규정하고 `상생`으로 반격에 나섰다. 초기 대응은 늦었지만 갑과 을을 모두 살리는 상생 개념으로 주도권을 되찾아오겠다는 복안이다.
새누리당은 여야 간 주도권 경쟁과는 별도로 지역 민심 붙잡기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전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이 당정협의를 갖고 경남지역 현안인 `밀양 송전탑 공사` 논란의 해법을 모색한 게 대표적이다.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일찌감치 지역현안을 챙김으로써 안정감 있는 여당의 면모를 부각하려는 취지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당내에선 당 우위의 당청관계를 강조하는 목소리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청와대에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건전한 비판과 견제를 통해 당이 정국을 주도해야 여론의 적극적인 지지를 얻을 수 있다는 논리에서다.
핵심 당직자는 "집권 여당으로서 청와대와 정부를 적극 뒷받침하겠지만 당청관계에서는 당이 우위에 서야 여권 전체가 살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