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서울대병원 교수에 이어 대한의사협회(의협)까지 집단 휴진을 예고하면서 의료계와 정부의 `강대강` 대치가 출구 없이 되풀이되고 있다. 지난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4개월째 이어지는 의료현장의 혼란과 환자들의 시름은 더 커지고 있다.10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은 전날 전국의사대표자회의에서 오는 18일 전면 휴진하고 총궐기대회를 열겠다고 발표했다.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오는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제외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을 무기한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데 이어 법정 의사단체인 의협도 전면 휴진에 가세한 셈이다.의협은 정부가 의대 증원 절차를 중단하면 집단행동 계획을 철회할 수 있다면서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하지만 정부는 의대 증원을 포함한 의료개혁을 완수하겠다는 의지에 변함이 없다.전날 한덕수 국무총리는 의협의 집단휴진 예고에 "일부 의료계 인사들과 의사단체가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추가적 불법 집단행동을 거론하고 있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정부는 총파업과 전체휴진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마지막까지 의료계를 설득하고, 의료공백 최소화에 전력을 쏟겠다"고 말했다.의료계와 정부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면서 애꿎은 환자들의 피해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후 환자들은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진료와 수술이 밀리는 등 각종 불편을 감내해왔고, 도통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 속마음만 타들어 가고 있다.서울대병원 교수들과 의협 모두 집단 휴진하더라도 응급·중증 환자의 진료에는 차질이 없게끔 준비하겠다고 밝혔지만, 당사자인 환자들은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환자들의 시름이 커지는 가운데 의협의 전면 휴진이 얼마큼의 파급력을 가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의협의 투표에서는 약 5만2천명의 회원이 휴진 등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실제로 얼마나 많은 의사가 휴진에 동참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의료계 안팎에서는 지난 정부가 의대 증원을 추진했던 2020년에도 동네 의원들의 휴진율은 높지 않았다는 점을 거론하며, 실제 참여율은 높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의협은 유례없이 높은 투표 참여율 등을 들어 대규모 휴진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