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포항 영일만 앞바다 1㎞ 심해에서 석유·가스가 부존할 가능성이 3일 정부 브리핑을 통해 공식 제기됐으나 실제로 부존 여부와 부존량은 향후 시추 과정을 통해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향후 경제성 평가 확정 등의 과정을 거친 뒤 만약 성공할 경우 동해 심해에서 2035년에 석유·가스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 때부터 한국도 산유국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본격적인 시추 작업 전인 만큼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석유·가스 생산을) 이룬 것도 아니고 아직 시작이며, 상업적 성공을 이뤄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석유 부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이 분야 전문가들의 견해다. 포항지역의 석유 부존 가능성은 지난 1960년대부터 제기돼 왔다.박정희 전 대통령은 1976년 연두 기자회견에서 `포항 석유 발견`을 직접 발표하기도 했으나 `원유가 아닌 정제된 경유`로 밝혀지면서 해프닝으로 끝나기도 했다.하지만 이번엔 다를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심해 탐사에 대한 기술과 자료 축적이 비교적 최근에 이뤄졌고, 1970년대보다 심해 탐사·분석 기술이 고도로 발달했다는 점에서다.정부는 지난 1966년 포항 앞바다를 시작으로 국내 해저자원에 대한 석유·가스 탐사를 꾸준히 진행해왔다.한국석유공사가 공개한 `국내 대륙붕 탐사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내 대륙붕 석유 탐사는 1970년대 외국 석유회사들이 조광권(광물을 채굴·취득할 수 있는 권리)을 설정해 한정된 지역에 대해 간헐적으로 이뤄졌다.1979년 석유공사 설립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대륙붕 탐사가 이뤄졌는데, 2022년 9월 말 기준 국내 대륙붕 석유탐사를 위해 총 11만6천549L-㎞의 2D(이차원) 및 1만589㎢의 3D(삼차원) 물리탐사와 48공의 탐사 시추를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1998년 울산 앞바다에서 가스전을 발견하고 시추 등 과정을 거쳐 `동해 가스전`을 개발하기도 했다. 다만 동해 가스전은 2004∼2021년 약 4천500만배럴의 가스를 생산하고 가스 고갈로 문을 닫았다.지난해 2월에는 동해 심해 탐사에 해당하는 8광구와 6-1광구 주변에 대한 자료가 충분히 축적됐다는 판단하에 세계 최고 수준의 심해 기술평가 전문기업인 미국 `액트지오`(Act-Geo)사에 심층분석을 의뢰했다.액트지오는 포항 일원 동해 심해 유망구조에서 최소 35억배럴에서 최대 140억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부존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평가 결과를 지난해 말 정부 측에 통보했다.정부는 이후에도 약 5개월에 걸쳐 해외와 국내 전문가, 별도 자문단 등을 통해 액트지오 측의 평가에 대한 신뢰성 검증과정을 거쳐이번에 전격 발표한 것이다.정부측은 "작년 12월에 (액트지오로부터) 결과를 받았지만 저희가 자체 평가도 하고 국내 자문단 검증도 하고 미국 최고 권위자를 다시 모셔 3중, 4중으로 계속 검증했다"며 "발표하기까지 신중에 신중을 기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