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침체 여파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세가 멈췄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작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이 2011년에 비해 3% 증가한 1조4천9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2008년 이래 매년 11∼28% 성장한 데 비하면 작년에 시장이 사실상 정체된 것이다. 생산량 기준으로는 14% 감소했다.
식약처는 국내외 전반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중저가 제품 선호 성향에 따른 결과로 풀이했다.
여전히 홍삼이 독보적인 1위였지만 생산액 점유율이 53%에서 46%로 크게 떨어져 시장 판도에 변화 조짐이 보였다.
이어 비타민·무기질(12%), 알로에(5%), 프로바이오틱스(인체 유익 미생물, 4%), 오메가-3 지방산(4%) 등으로 집계됐다.
전체 시장이 침체를 보인 가운데 새로운 기능성 원료를 사용한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은 2001년에 비해 26% 증가한 1천80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당귀 혼합추출물, 그린마테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등으로 만든 건강기능식품이 크게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주요 5개 제품군(효능별) 가운데는 체지방감소 기능성 제품이 235억원어치 생산돼 201%에 이르는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업체별 생산액은 한국인삼공사(4천744억원), 한국야쿠르트(697억원), 코스맥스바이오(505억원), 마임(505억원), 태평양제약(411억원) 순이었다.
작년 건강기능식품 수출 규모는 생산액 기준으로 2011년에 비해 5% 늘어난 584억원(평균 원달러환율 1천126원 기준)이다.
작년말 기준으로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수는 벤처기업을 포함 435곳이고, 시군구에 신고된 수입업체수는 2천926곳에 이른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