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침체 여파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세가 멈췄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작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이 2011년에 비해 3% 증가한 1조4천9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2008년 이래 매년 11∼28% 성장한 데 비하면 작년에 시장이 사실상 정체된 것이다. 생산량 기준으로는 14% 감소했다. 식약처는 국내외 전반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중저가 제품 선호 성향에 따른 결과로 풀이했다. 여전히 홍삼이 독보적인 1위였지만 생산액 점유율이 53%에서 46%로 크게 떨어져 시장 판도에 변화 조짐이 보였다. 이어 비타민·무기질(12%), 알로에(5%), 프로바이오틱스(인체 유익 미생물, 4%), 오메가-3 지방산(4%) 등으로 집계됐다. 전체 시장이 침체를 보인 가운데 새로운 기능성 원료를 사용한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은 2001년에 비해 26% 증가한 1천80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당귀 혼합추출물, 그린마테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등으로 만든 건강기능식품이 크게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주요 5개 제품군(효능별) 가운데는 체지방감소 기능성 제품이 235억원어치 생산돼 201%에 이르는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업체별 생산액은 한국인삼공사(4천744억원), 한국야쿠르트(697억원), 코스맥스바이오(505억원), 마임(505억원), 태평양제약(411억원) 순이었다. 작년 건강기능식품 수출 규모는 생산액 기준으로 2011년에 비해 5% 늘어난 584억원(평균 원달러환율 1천126원 기준)이다. 작년말 기준으로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수는 벤처기업을 포함 435곳이고, 시군구에 신고된 수입업체수는 2천926곳에 이른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