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오는 8월 31일까지 3개월간 도내 1만 1315개 건축물을 대상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실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어‘장애물 없는 환경’(barrier free)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실태 조사대상은 장애인 편의증진법 시행일(’98. 4.11) 이후 신.증.개축 및 용도변경 등 건축행위가 있었던 건물 및 공공시설이다.
조사대상시설은 72개의 건물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조사대상별로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합여부 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조사항목은 주출입구 접근로, 출입구, 계단 또는 승강기, 화장실, 점자블록 등이다.
100여명의 전문교육을 받은 조사요원들이 일일이 현장방문을 통해 편의시설 전수조사표를 작성하며, 조사결과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 향후 장애인 등 편의시설 확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와 함께 편의시설 설치실태 전수조사로 장애인 등이 공공건물 및 공공이용시설 등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미설치 시설의 설치촉구 및 편의시설 유지관리를 점검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지금까지 ‘편의증진 종합5개년 계획(2010~2014년)’을 수립 편의시설 설치율을 2014년까지 92% 설치를 목표로 공공건물과 시설의 편의시설 미설치 또는 부적정한 시설 개보수를 위한 예산확보, 등 편의시설 설치와 개선을 위해 적극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을 펼쳤다.
김원석 경북도 사회복지과장은“이번 편의시설 설치실태 전수조사로 장애인들의 접근성 확보 및 장애인에 대한 도민 인식 개선은 물론 장애인 및 노인.임산부 등의 이동권 및 접근성을 보장하고, 장애인 등이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 불편함을 크게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신영길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