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는 27일 한반도의 안정이 한중일의 공동 이익이라는 데 뜻을 같이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한중일 3국 간 활발한 협력이 양자관계는 물론 역내 평화와 번영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에 공감했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임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윤 대통령은 "한중일 3국 공통의 핵심 이익인 역내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유엔 안보리(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강조했다.윤 대통령은 "아울러 북한이 오늘 예고한 소위 위성 발사는 명백한 안보리 위반이며 국제 사회가 단호히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윤 대통령은 3국 정상회의 정례적 개최와 2030년까지 연간 인적 교류 4000만 명 달성, 2025~2026년 한중일 문화 교류의 해로 지정하겠다고 했다. 기시다 총리는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안정이 한중일 3국에 공동 이익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인공위성 발사 예고와 관련해 만약 발사를 감행한다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강력히 중지를 촉구한다고 말했다"고 했다.기시다 총리는 경제분야 협력과 관련해 "자유롭고 공정한 국제경제 질서 유지와 강화 중요성을 지적했다"며 "무역·투자 양면에서 3국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플러스를 지향하자고 했다"고 말했다.기시다 총리는 "높은 수준의 규범을 포함하는 미래지향적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의 바람직한 모습에 관해 솔직한 의견을 나누자고 했다"고 덧붙였다. 리 총리는 "중국은 시종일관 한반도의 평화, 안정을 유지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인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며 "관련 측은 자제를 유지하고, 사태가 더 악화하고 복잡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정상회의 모두발언에서는 북한의 정찰 위성 발사 예고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이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중국도 노력하고 있다는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