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ㆍ김영식기자]대구경북(TK) 행정통합을 위한 고위급 4자 회동에 대한 시도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오는 6월 4일 오후 3시 정부 서울청사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홍준표 대구시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 위원장이 만난다. 통합 당사자인 시·도 단체장과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 장관, 대통령 직속 자문기관인 지방시대 위원장이 머리를 맞대기로 한 만큼 어떤 결과물이 나올 것인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회동에서는 대구경북 통합의 필요성과 추진 방향,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여 정부 차원의 ‘어떤 선물 보따리’가 나올 것인가에도 주목된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TK 행정통합에 적극적인 지원을 지시한만큼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정부에 대폭 이양하는 `큰 그림`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홍 시장과 이 지사가 통합 자체에 대해서는 일치된 의견을 드러낸 만큼 이번 회동에서는 구체적인 방식과 절차 등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 모두 2026년 6월 치러질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통합 단체장을 선출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 특별법 제정에도 힘을 합칠 전망이다. 이를 통해 통합이 현실화하면 `광역자치단체 첫 통합`이라는 상징적인 사례가 된다. 또 4자 회담을 앞둔 TK 지방정부는 행정통합이라는 대전제에는 이견이 없으며, 대구의 경북 흡수와 같은 일방적 통합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공감대도 형성했다.하지만 이철우 지사가 제기한 명칭문제가 막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는 `시·도민 공감대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을 지난 26일 재차 밝힌만큼 시도민들의 통합 후 명칭문제에 대한 공감대가 우선이라는 것이다. 이 도지사는 자신의 SNS를 통해 "2021년 행정통합 논의 당시 통합 명칭은 `대구경북 특별광역시`로 공론화된 바 있다. 이번에도 대구경북을 함께 사용하는 방향으로 공감대가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며 "홍준표 대구시장도 경북의 반발을 우려해 `대구직할시` `대구광역시`를 고집하지 않고, 통합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했다.홍 시장은 현행 `국가-광역-기초` 3단계 행정 체계를 `국가-지방자치단체` 2단계 행정 체계로 개편하자고 한 만큼 이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홍 시장은 대구경북을 통합하면 서울시처럼 총리실 직속으로 격상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이를 통해 중앙정부의 권한 상당 부분을 지방정부로 이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지사도 "가장 중요한 문제는 중앙정부의 권한을 대폭 이양받는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