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의회 후반기 의장선거가 지역 양 국회의원이 좌지우지하는 선거가 된다고 한다. 국민의힘 중앙당이 오는 7월 지방의회 후반기 원구성을 앞두고 당내 경선을 통해 의장단 후보를 선출하라는 지침을 내렸기 때문이다. 포항시의회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해치고 기초의회를 파괴하는 행위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중당당이 내린 지침대로 선거를 치를 경우 포항시의회 의장단은 시의원 개개인의 의사와는 별도로 양대 국회의원의 입김으로 특정 후보가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풀뿌리 민주주의와 역행하는 행위로 민의를 저버린 기초의회 파괴행위다. 다수당이 의원총회에서 후보자를 사전에 선출하는 방식은 자칫 도덕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인물과는 거리가 먼 수준이하의 인물이라도 권력의 낙점만 받으면 의장으로 선출되는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 분명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현재 포항시의회는 33명의 의원 가운데 국민의힘이 23석, 민주당 7명, 무소속 3명으로 구성돼 있다. 복당을 신청한 김철수‧조영원 의원이 국민의힘에 입당하면 최종적으로 25명으로 그 수는 더욱 늘어난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의총에서 의장 후보를 결정하면 의장선거에서도 큰 이변이 없는 한 포항의 양대 국회의원이 낙점한 인물이 의장이 될 수밖에 없는 구도가 된다. 당초 9대 포항시의회는 국민의힘 22명, 민주당 7명, 무소속 4명으로 1/3이 비(非) 국민의힘 이었다. 이렇듯 포항시민들은 민의를 잘 반영하라는 취지에서 일당 독재식으로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았다. 하지만 의장단 구성에서 다수당이 단순히 인원수를 앞 세워 힘으로 몰아붙인다면 시의회는 전체 시민들의 권익을 보호하지 못하고 특정 세력들의 영욕만을 채우는 기관으로 전락하게 된다.다수당을 갖고 있는 국민의힘이 의총을 통해 사전에 후보를 정하는 일은 풀뿌리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후진 정치다. 기초의회는 무소속을 포함한 여러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모든 시민들의 고충을 해결하는 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렇지 않고 국민의힘 의총에서 국회의원을 낙점한다면 선출되는 의장 또한 시민들을 위한다기보다는 소속 당과 자신의 영욕을 채울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포항시민들의 민의를 대변할 수 있는 전문성과 도덕성, 인격을 겸비한 유능한 인물이 포항시의장이 돼야 한다. 국민의힘 중앙당에서 낙점하고 양대 국회의원이 미는 인물이 후반기 의장이 될 경우 포항시민들도 그리 반기지 않을 것이다. 풀뿌리 민주주의 근간인 기초의회 정치가 흔들리지 않고 바로 설 수 있도록 가장 민주적인 방식으로 의장 선거가 치러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