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ㆍ정다원기자]내년부터 연간 2조원이 넘는 대학지원예산을 따내기 위한 지방대학들의 유치작전이 치열하다.
지원 권한을 갖는 전국 광역시도 17곳은 향후 5년 동안 추진할 사업 계획 시안을 교육부에 제출하고 교육부의 재정배분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교육부는 자문을 제공해 각 시도에서 마련한 시안을 보완하고 올해 국회 예산 심의를 거쳐 올해 연말까지 5개년의 사업 추진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경북도도 제안내용에 따른 교육부의 재정배분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일 교육부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올해 초 전국 17개 광역시도로부터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5개년(2025~2029) 계획 시안을 제출 받아 자문을 제공한다는 것. 라이즈는 그간 교육부가 맡고 있던 국고 사업의 절반 이상을 지역주도로 전환하고 사업 기획과 지역 내 재정 배분, 관리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는 게 골자다.교육부는 다수의 지자체가 시안을 통해 지역 주력산업 분야 수요를 반영한 관할 대학의 학사구조 개편이나 대학 연합 등 대규모 구조조정을 제안했다고 전했다.경북도는 도내 대학 가운데 특성화 중심으로 연결하는 `메가버시티(MEGAversity) 연합대학`을 제안했다. 단과대 및 유사 학과를 구조조정하고 일반대-전문대를 통폐합하거나 권역별·산업별 통합을 전제로 하는 내용이다.이밖에 경기·대구·대전 등은 대학 내 공간을 산학연 클러스터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각 광역시도에서는 지역 내 출연연구기관과 기업 연구소를 대학 내 유치하거나 대학 공동 캠퍼스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창업에 방점을 찍은 지역도 있다. 서울은 창업 초기 단계부터 해외시장을 목표로 하는 `본 글로벌(Born Global)` 창업기업 육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대학이 없는 기초지자체와 대학·기업·주민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거나 도심 상권에 캠퍼스 타운을 조성해 상가 공실 해소에 나서겠다는 지역도 있으나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이달 1일(충청권)과 7일(강원·수도권), 8일(제주·호남권)과 9일(영남권) 총 4차례 중앙라이즈센터로 지정된 한국연구재단과 학계·산업계 등 전문가로 구성된 `라이즈 상담팀`과 함께 대면 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다.자문을 통해 ▲다른 중앙 부처 대학재정지원사업 ▲교육발전특구 및 글로컬대학 사업 ▲지역필수 의료체계 구축 등과 연계해 나갈 전략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17개 모든 시도가 조직 내에 대학 관련 업무 부서를 지정했으며 이 중 일부는 국 단위(대구)나 18명 규모의 대규모 과 단위(충남) 조직을 설치했다. 또한 강원·세종·전남 등은 담당 부서의 추가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교육부는 오는 9월 국회에 정부 예산안이 제출된 이후 각 시도를 대상으로 하반기 컨설팅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시안을 지속 보완하고 사업 운영을 뒷받침할 세부 지침 개발 등에 대해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이런 과정을 거쳐 각 시도가 수립한 라이즈 계획은 오는 12월 국회가 내년도 예산안을 통과시키면 시도별로 예산을 배분하면서 최종 확정돼 내년부터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