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테러관련 기밀의 내부 유출자를 찾는다는 명분으로 AP통신의 전화통화 기록을 대거 압수, 은밀히 조사를 벌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AP 측이 언론 자유에 대한 전례없는 침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공화당 등 오바마 대통령의 정치적 반대파들도 이를 문제삼고 나서 논란이 증폭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외신들과 미국 현지 신문들은 미국 연방검찰이 구체적인 사유를 밝히지 않은 채 AP 편집국과 소속 기자들이 쓰는 전화 회선 20여개의 2개월치 사용기록을 압수해 조사하고 있다고 14일 보도했다. 압수 자료는 AP 뉴욕 본사와 워싱턴, 코네티컷주 하트퍼드 사무실의 직통전화와 기자들의 업무·개인 전화에 대해 수신·발신 내용과 통화시간 등을 기록한 것이다. AP는 100명 이상의 기자들이 압수대상 전화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번 압수는 작년 5월7일 자 `예멘테러 기도` 기사가 촉발한 것으로 AP는 추정했다. 기사는 대미(對美) 테러 위협이 없다는 당시 미국 정부의 발표와 반대로 알 카에다 예멘 지부가 오사마 빈 라덴 사살 1주년을 기념해 미국행 여객기에 폭탄테러를 시도했고 미 중앙정보부(CIA)가 이를 저지했다는 사실을 밝혀 반향을 일으켰다. 미국 사법당국은 보도를 `CIA 작전 기밀이 위험하게 유출된 사례`로 보고 수사에 착수한 상태다. AP는 예멘 기사에 관여했던 에디터와 기자들의 전화통화 기록도 이번 압수 대상에 포함됐다고 전했다. AP는 "이례적 규모로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 압수"라며 반발했다. 게리 프루잇 AP사장은 에릭 홀더 법무부 장관에게 보낸 항의 서한에서 "정부가 언론사의 비밀 취재원이나 취재활동 내용을 알 권리가 없다"며 압수한 통화기록의 반환과 사본 파기를 요구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예전에도 진보적 이미지와 달리 안보를 이유로 언론 보도를 억압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공익적 목적 등으로 국가 기밀을 외부에 알린 인사를 수사·기소한 사례가 6번으로 역대 정부 중 가장 많다. 작년 1월에는 테러 용의자에 대한 가혹신문 사실을 뉴욕타임스 등에 폭로한 전 CIA 간부가 기밀 유출 혐의로 법정에 섰고, 2010년에도 국가안보국(NSA)의 예산 과잉 지출 문제를 언론에 지적한 전 NSA 직원이 기소됐다. 이에 대해 영국 가디언지는 이번 파문이 이미 반대파가 많은 오바마 대통령에게 또 다른 정치적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 민주당 전략분석가는 "AP 통화기록 압수 사건으로 오바마 행정부의 언론 이미지가 어떻게 될지가 결정된 것 같다"고 전했다. 미국 온라인매체인 허핑턴포스트는 "만일 법무장관이 사전에 압수를 승인했다면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하원 공화당 관계자의 발언을 보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