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축구협회가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조직을 축소하고 젊은 인재를 팀장으로 발탁하는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축구협회는 14일 "국제 경쟁력 제고와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체계 구축 등의 당면 과제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려고 조직개편을 했다"며 "능력있고 젊은 인재를 팀장으로 발탁하는 연공서열의 파괴를 통해 조직의 경쟁력과 효율의 극대화를 노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축구협회는 기존 8국(경기1국·경기2국·심판국·기술교육국·국제국·사업국·홍보국·사업지원국)-1센터(파주NFC)-1실(법무실) 체제에서 기능별로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서를 통폐합, 1기획단(미래전략기획단)-4실(경기운영실·기술교육실·대외사업실·경영지원실) 체제로 단순화했다.
또 사무총장, 사무차장 직제를 폐지하고 전무이사 체제로 전환, 결재라인을 기존의 6∼7개 단계에서 3단계(팀장-실장-전무이사)로 축소했다.
경기운영실은 학교경기팀-클럽경기팀-심판운영팀-등록팀으로, 기술교육국은 국가대표지원팀-교육총괄팀-NFC관리팀, 대외사업실은 홍보팀-국제팀-마케팅팀, 경영지원실은 기획팀-회계팀-인사팀-총무팀 등으로 구성된다.
이번 조직 개편에서 눈에 띄는 것은 미래전략 기획단의 신설이다.
미래전략기획단은 축구산업 시장의 확대, 주말리그 개선방안, 협회 가맹단체들의 자생력 제고, 대의원 선거제도 개선 등 정몽규 축구협회장의 공약 사업을 실천할 핵심부서다.
축구협회는 미래전략기획단을 이끌 인물로 곽영진 전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과 축구전문가이자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기술위원장을 역임한 이용수 세종대 교수를 영입했다.
더불어 곽영진 전 차관에게는 조직의 윤리 의식과 사회적 책임 강화 차원에서 윤리 및 관련 제도 개선 담당 부회장직도 함께 맡겼다.
축구협회 관계자는 "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게 이번 조직개편의 목표"라며 "연공서열을 파괴해 조직에 생기를 불어 넣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