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부터 4·10 총선의 공식 선거운동이 막을 올렸다. 막상 선거전이 시작됐으나 국민의힘의 분위기는 침울하다. 반면 민주당은 200석 자신하며 분위기가 들썩이고 있다. 21대 국회를 다수의 폭정으로 몰고 갔다는 지적을 받는 거대 야당에 대한 `심판론`을 꺼내 들며 과반 의석 이상 확보를 목표로 삼았지만 현재 판세를 보면 민주당에 참패할 것이라는 예상이 팽배하다. 개헌 및 탄핵(200석) 저지선 확보마저 위태롭다는 경고등까지 켜졌다. 그렇다고 선거운동 기간 이를 만회할 특단의 뾰족한 묘책도 없어 보인다. 야당 심판론이 먹혀들지 않고 오히려 정권 심판론이 기세등등하다. 선거 초반 여당의 `낙관론`은 막판 부실 공천에다 이종섭 주호주대사·황상무 전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을 둘러싼 논란, 민주당의 막말 공세에 대한 힘없는 대응 등이 실망감으로 표출되면서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졌고 수도권뿐 아니라 부산권 일부 지역에서까지 위태로운 상황에 놓이면서 `범야권 200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보수우파 유권자들은 "총선 패배는 윤석열 정부를 `식물` 상태로 만들어버릴 중요한 변곡점이니만큼, 공식 선거운동 기간 잃어버린 보수 표의 결집과 `샤이 보수`를 투표장으로 이끌어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외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범야권이 200석, 국민의힘은 100석도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각 언론사들의 분석도 크게 다르지 않아 우세 지역 전망서 국민의힘은 80석 안팎, 더불어민주당은 110석 내외다. 여기에 조국혁신당 돌풍 현상까지 얹히면서 여의도 정가에서는 범야권 200석 가능성도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여당은 이번 총선에서 패배하면 윤석열 정부는 맥 못추는 식물정부가 될게 뻔하다. 박빙의 승부가 펼쳐지는 접전 지역에서의 우위 확보를 위해 우선 보수 정치세력을 하나로 뭉쳐야 한다는 요구가 쏟아지고 있다. 또 유권자들을 현혹하는 가짜 뉴스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상대적으로 선전선동에 강한 야권이 주무기로 사용하고 있는 괴담 등 유언비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도 필요하다. 이제 얼마남지 않은 선거일까지 여당의 강점인 유권자들의 관심을 단숨에 끌어당길 수 있는 파괴력 있는 정책 이슈를 꺼내야 하고 아직 결정을 하지 못한 중도층을 잡을 수 있는 확실한 묘안을 짜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