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민선 8기 농식품 분야에서 사상 처음으로 매출 7조원을 돌파하는 대기록을 세우면서 K-푸드 농식품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이는 경북도가 지난 2022년 6월 농업대전환 비전(농업은 첨단산업으로 농촌은 힐링 공간으로)을 선포한 후 생산성 향상과 부가가치 제고에 총력을 기울인 끝에 얻은 결과물이다. 농식품 매출은 전년 대비 3.7% 상승했고, 민선 7기(2018~2021) 평균 5조8954억원에 비해 무려 20% 이상 증가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농식품 분야별로는 식품가공 3조1268억원, 농식품 수출 1조2203억원, 학교급식 1860억원 등 지난해 기상악화로 과수 등 출하량이 감소한 산지 유통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15% 정도 증가했다. 도는 이러한 성과 요인으로 ‘농업대전환’을 그 이유로 꼽았다. 특히 2022년 6월 농업대전환 비전 선포를 시작으로 농업 첨단화와 규모화로 생산성을 향상하고,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 총력을 기울인 결과였다. 또 여기에 더해 생산부터 가공, 유통, 판매까지 경북도의 세심한 마케팅 전략이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경북도는 그동안 국내외 K-푸드 선도를 위해 농식품 가공산업 발전에 힘을 쏟았다. 가공공장 신·증설과 시설·장비 구입 등 아낌없는 지원으로 도내 식품 제조‧가공 업체수(2022년말 기준)가 2730개소로 지난 2020년 대비 21.8% 증가했다. 오는 2030년까지 1000개소를 추가로 육성해 경북 농식품의 세계화를 이끌어 나갈 계획이다. 경북도는 수출 품목의 다양화로 수출 촉진에도 노력했다. 도는 전통적인 수출 효자 종목인 샤인머스켓과 딸기, 복숭아뿐만 아니라 냉동 김밥, 김치 등 가공식품까지 품목을 다양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출상담회를 열고 해외박람회를 수시로 참가해, 전년대비 15% 이상 증가한 9억 3000달러를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다.이런 성과의 뒤에는 경북도 온라인 공영쇼핑몰인 ‘사이소’의 힘도 컸다. 명절선물기획전, 연말할인전 등 다양한 행사로 소비자 만족도를 높였고, 시군 단위로 운영되던 쇼핑몰을 도 단위 광역플랫폼으로 통합해 소비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게 주효했다. 유통원가 최소화로 경북 농식품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이소’는 첫해(2007년) 2억원의 매출을 시작으로 매년 매출액을 갱신하며 지난해는 455억원의 엄청난 매출액을 달성했다. 현재 입점 농가는 2천여 농가를 웃돌고 회원수 또한 15만명을 넘어섰다. ‘바로마켓 경북도점’은 지난해 총 70회를 운영해 10만 4000여 명이 찾았고, 34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지역대표 직거래 장터로 자리 잡았다. 경북의 K-푸드 농식품이 국내를 넘어 세계로 쭉쭉 뻗어 나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