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권호경기자]점점 인구가 줄어드는 지방소멸에 대한 해법을 경북의 명문 김천高가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경북도가 안간힘을 쏟으면서 지방소멸에 대한 대응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렇다할 처방책은 나오지 않아 전전긍긍하던 터에 김천고가 내놓은 해외 유학생 유치사례는 지방소멸의 새로운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19일 김천고에 따르면 올해 베트남 출신 7명, 캄보디아 출신 1명 등 8명의 유학생을 뽑았다. 이로써 작년까지 학년당 8반(240명)이 있었는데, 올해 1학년은 유학생 8명이 입학하면서 9반으로 늘어났다. 국내 고교에서 해외 유학생을 뽑은 사례는 김천고가 유일하다. 자율형 사립고인 김천고는 재작년부터 유학생 유치 준비를 해왔다. 김천고는 신입생의 40%는 전국, 40%는 경북, 20%는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뽑는다. 면학 분위기가 좋고 대입 실적도 좋아 전국에서 오겠다는 학생은 여전히 많다. 하지만 최근 들어 경북지역 저출생 현상으로 경북 학생을 뽑는 전형이 미달될 때도 있다. 경북의 초·중·고교 학생 수는 2003년 41만2315명에서 2023년 24만9095명으로 20년 만에 약 40%나 줄었다. 이대로 가다가는 학생수를 유지하기는커녕 지역소멸을 걱정할 처지에 놓였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짜낸 아이디어가 외국 유학생 유치였다. 유학생들은 3년 동안 김천고 기숙사에서 생활하면서 공부한다. 학비, 기숙사비 등 1인당 필요한 연간 비용 1500만원은 모두 학교가 지원한다. 졸업할 때까지 한국어능력시험 6급 자격을 따고, 외국인 전형으로 국내 대학에 진학하는 게 1차 목표다. 한국어 6급은 한국어 의사소통에 전혀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1학년 때는 국제반에서 한국어와 영어를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2학년부턴 한국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는다. 1학년 때도 동아리나 방과 후 수업은 한국 학생들과 같이 듣는다. 한국 학생들과는 영어와 한국어를 섞어가면서 공부한다. 김천고는 내년부턴 베트남·캄보디아뿐 아니라 우즈베키스탄·라오스 등 국가를 넓혀 외국인 학생을 16명 정도 받을 계획이다. 같은 재단의 김천중학교에서부터 유학생을 데려와 가르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천고 김상근 이사장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학교 존속은 물론 지방소멸도 막고 국내에 빨리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일석이조”라면서 “우리학교의 사례를 계기로 타 학교에서도 도입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했다.한편 경북교육청은 올해 도내 직업계고 8곳에 베트남·태국·몽골·인도네시아 학생 48명을 유치하고 졸업 후 국내 기업에 취업시킬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