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대구경찰청은 경찰은 최근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 수사과에서 담당하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업무가 여성청소년 기능으로 일원화됐으며, 이는 사회적약자 대상 범죄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범죄피해자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실질적인 보호·지원활동을 펼쳐 나갈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하여 대구경찰청 여성청소년과는 기존 가정폭력, 외국인 범죄 등 죄명이나 지원 대상에 따라 여러 기능에 산재해 있던 피해자 지원 관련 회의를 일원화해 경찰, 자자체, 의료기관, 심리지원 기관, 외국인 전문기관 등 각 분야 전문가들로 이뤄진 ‘범죄피해자 통합지원 협의체’를 구성, 범죄피해자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범죄피해자의 실질적인 피해 회복 및 일상 복귀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실제로 올해 2월 발생한 주택 방화 사건의 경우 주거지가 소훼된 피해자를 위해 ‘강력범죄 현장정리’ 제도를 활용해 특수청소를 지원한 바 있으며, 범죄피해로 당장 거주할 곳이 없거나 보복이 우려되는 피해자에게는 임시숙소 제공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위해를 당할 위험성이 높은 피해자의 경우에는 스마트워치, 지능형 CCTV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범죄피해자 안전조치를 선제적으로 실시하고, 치료비 등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 관련 기관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등 맞춤형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대구경찰청은 공적 지원 사각지대에 있는 피해자를 위해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과의 활발한 업무협약을 추진해 피해자 지원기금을 확보, 최근 2년간 총 176명의 피해자에게 2억1100만원의 경제적 지원을 실시했으며, 앞으로도 활발한 업무협약을 통해 대구지역 범죄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유재성 대구경찰청장은 "범죄피해자들의 신속한 피해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해 최선을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