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영유권 강화를 위한 각종 건설사업들이 사업비를 확보하지 못해 게걸음을 하고 있다.
7일 경북도에 따르면 독도 영유권을 강화하기 위해 수년전부터 추진해 온 ‘독도 입도지원 센터 건립’, ‘독도방파제 건설’, ‘국립 울릉도ㆍ독도 생태체험관 건립’등의 사업들이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사업 추진 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다.
당초 예산에서 사업비를 확보치 못한 데다 추경에도 예산이 들어있지 않아 비용을 충당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독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2015년까지 약 90억원을 들여 독도 동도에 3층 규모의 독도입도지원센터를 건립하기로 하고 올해 착공할 방침이었지만 이에 필요한 국비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선박의 자유로운 입출항을 위한 방파제 공사도 설계가 끝났지만 아직까지 예산 미확보로 본 공사를 시작도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초부터 추진해 온 해양 과학기지건설은 아직까지도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입도지원센터와 방파제는 관련 부처 간 협의를 거쳐 착공 시기를 결정해야 예산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는 독도에 대한 연구와 생태체험 기능을 하는 국립 울릉도 독도 생태 체험관의 경우도 건립 이후 모든 운영비를 정부가 부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연구 기능 운영비만 국비로 하고 생태체험 운영비는 해당 자치단체에서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전국에서 자립도가 최하위인 울릉군은 곤혹스럽기만 하다.
경북도의 한 관계자는 “체험관은 운영비를 모두 국비로 해줄 것을 기획재정부에 계속 요청하고 있는 중이라며 이 문제를 해결해야만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독도가 본격적으로 개방된 2005년 이후 8년 만에 방문객이 100만명을 넘어서는 등 국민들의 독도사랑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정부에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을 제때 확보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최수일 울릉군수는 “독도는 이제 전 국민들의 애정이 어리고 있는 섬”이라며 “독도 영유권강화 사업들은 영토수호라는 큰 바탕아래 정부의 특단의 지원과 배려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조영삼기자
choys@ksmnews.co.kr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