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5·4 전당대회에서 김한길 대표가 새 사령탑에 오른 것을 시작으로 이달 중순까지 여야 지도부가 순차적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민주당은 오는 15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키로 해 `투톱 교체`가 완성되며, 새누리당은 16일께 원내대표 경선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를 제외한 여야의 `간판`이 모두 바뀌게 되며, 여야 새 지도부의 `궁합`에 따라 정국의 향배도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일단 민주당 전대에서 중도 성향인 김 대표가 선출됨에 따라 여야 관계는 이념 대결보다는 민생정책 경쟁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민주당 내부에서 대표·최고위원 경선에서 완패한 친노(親盧)·주류 세력 등 강경파의 목소리는 잦아들 수밖에 없는 상태여서다.
여기에다 김 대표는 취임 포부로 `민생`과 `성과`를 강조하고 나서 향후 `민생 정국`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김 대표는 수락연설문에서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으로 구성된 `6인 협의체`에 대해 "아무 성과 없이 (여야) 관계만 악화됐다"고 비판하고, 안보와 민생현안 해결을 위해 박근혜 대통령과 자신이 참여하는 `여야 국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것..
이에 화답이라도 하듯 새누리당도 이상일 대변인 명의로 논평을 내 "새 정치와 민생 안정을 위한 선의의 경쟁과 대화·타협을 통한 상생정치"를 강조했다.
양당 원내사령탑 동시 교체도 정국의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은 4선의 `신박(新朴)` 이주영, 3선의 `원조 친박(親朴)` 최경환 의원간 2파전으로 사실상 대진표가 확정됐다.
두 사람 모두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조화로운 당·청 관계를 지향하고 있어, 누가 승리하든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인 황우여 대표와 호흡을 맞춰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뒷받침할 관리형 지도부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다만 누가 원내사령탑에 오르느냐에 따른 `대야 전선`은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야간 쟁점인 경제민주화 의제를 놓고 볼 때, `경제민주화 실천모임` 소속인 이주영 의원과 `경제민주화법 속도조절론`을 펴는 최경환 의원의 스타일이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여야간 대립각이 둔화할 수도, 가팔라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은 3선의 김동철 우윤근 전병헌(가나다순) 의원간 3파전이 예상된다. 김·우 의원은 `온건파`, 전 의원은 `강경파`로 분류된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야 새 지도부 조합에 따른 정국 변화는 불가피하다"며 "김한길 신임대표와 여야 원내대표 후보군의 성향을 보면 여야 관계가 종전과 비교해 원만한 흐름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