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는 가장 짧은 임신 5개월만에 태어난 아이가 병원 치료를 마치고 건강하게 퇴원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해 10월 임신 21주 5일(152일)만에 몸무게 490g으로 태어난 아이(이은혜.여)가 무사히 자라 지난 3월 퇴원했다고 3일 밝혔다. 152일만에 태어난 아기는 지난 1987년과 2011년 캐나다, 독일에서 각각 보고된 바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임신주기가 가장 짧았던 초미숙아는 2011년 부산백병원에서 22주만에 530g으로 태어난 아기였다. 현재 은혜는 부모와 함께 병원 측에서 마련한 어린이날 행사에 참석할 수 있을 정도로 건강한 상태다. 은혜의 탄생부터 지금까지의 성장은 의학계에서 기적 그 자체로 불린다. 보통 아기가 세상으로 나오기까지는 40주(280일)가 걸리지만 은혜는 임신 152일만에 태어나 생존한계선 범위 밖에 있었기 때문이다. 현대의학에서는 임신주기 23주를 생존의 한계로 보고 있다. 이보다 빨리 태어난 아기들은 무엇보다 여러 장기들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상태여서 생존확률이 희박하다. 은혜 역시 처음에는 의료진조차 생존을 점치기 어려운 상태였다. 은혜의 부모는 결혼 13년만에 여러 차례의 인공수정 끝에 어렵사리 쌍둥이인 은혜와 기쁨이를 얻었다. 하지만 두 아이는 너무 일찍 세상에 나온 탓에 폐가 제대로 펴지지 않는 등 몸의 각 장기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해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함께 태어난 기쁨이가 얼마 지나지 않아 숨진것도 그래서이다. 은혜 역시 호흡을 혼자서 못해 폐 계면활성제를 맞고 고빈도 인공호흡기를 달았지만 무사히 이겨냈고, 500g이 채 되지 않는 작은 몸으로 미숙아 망막증 수술을 비롯한 각종 치료를 견뎌냈다. 젖을 빨 힘조차 없어 튜브를 통해 코로 수유를 했지만 하루하루 성장했다. 은혜를 치료한 박원순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빨리 태어난 경우가 없어 치료하는데 어려움이 컸다”면서 “은혜가 지금까지 건강하게 잘 자라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은혜에 앞서도 21주에서 22주 사이에 태어난 9명을 치료한 경험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런 경험이 은혜를 살리는 데 큰 도움이 됐다는 의미다. 장윤실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생존한계인 23주 미만 신생아를 잘 살려낸 게 의학적 성과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태어날 더 많은 조산아 부모들에게 ‘우리도 아이를 잘 살릴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준 데에 더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어머니 안지환(42) 씨는 “우리나라에서 아직까지 이렇게 작은 아기가 생존한 경우가 없다는 얘기를 듣고 오직 매순간 최선을 다하자는 마음뿐이었다”면서 “수많은 크고 작은 위기와 고비들을 무사히 잘 이겨내고 기적처럼 아기를 건강하게 잘 치료해 준 의료진들의 노력과 보살핌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