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으로 교정해도 시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약시’ 환자 10명 가운데 6명은 만9세 미만의 어린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시력 발달이 끝나는 만 8~9세까지 약시를 방치할 경우 평생 정상 시력을 찾기 어려운만큼, 만3~4세 정도면 반드시 정밀 시력검사를 받아 약시 여부를 점검해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지난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2008~2012년 약시(질병코드 H53) 진료 자료에 따르면 약시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8년 2만1천273명에서 지난해 2만1천80명으로 0.9% 감소했다.
그러나 진료비는 같은 기간 9억8천만원에서 12억6천만원으로 28.7% 정도 늘었다.
연령별로는 작년 기준 0~9세의 비중이 61.6%로 가장 컸고, 이어 10~19세가 23.5%로 결국 0~19세 소아·아동·청소년층이 대부분(85.1%)을 차지했다.
심평원 관계자는 “약시는 주로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사시, 굴절이상, 선천성백내장 등 정상 발달을 저해하는 원인들 때문에 발생한다”며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예후가 좋지만 늦으면 정상 시력 회복이 어려운 만큼, 숫자를 구별할 수 있는 만 3~4세 정도가 되면 반드시 시력을 정밀 검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