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 공기청정기가 성능도 우수할 것이라는 편견을 깨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공기청정기 6개 회사 22종의 품질(표준사용면적·탈취효율·소음·에너지소비효율등급)과 유지·관리비용(1년 기준)을 비교한 결과 비싼 제품이라도 성능이 우수하지는 않았다고 2일 밝혔다. 우선 표준사용면적 30㎡ 미만인 제품 5개 중에서는 A·B·C사 제품이 탈취효율·소음·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같은 등급(`양호`와 2등급)을 받았으나 가격은 각각 44만3천100원, 25만6천680원, 25만1천270원으로 차이가 났다. 유지·관리비용도 20만1천812원, 17만6천475원, 3만7천485원으로 차이가 컸다. 표준사용면적 30㎡ 이상∼40㎡ 미만인 제품 4개를 비교하면 탈취효율과 소음에서 `양호` 등급을 받은 B사와 D사 제품의 가격은 32만6천800원과 32만4천850원으로 비슷했다. 그러나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B사는 2등급, D사는 3등급이었다. 가습·제습 기능을 보유한 동일한 표준사용면적의 제품 4개 중에서는 B사와 C사는 탈취효율과 소음에서 `양호` 또는 `보통`을 받고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3등급으로 같았으나 가격은 48만3천660원과 51만2천170원, 유지·관리비용은 16만8천165원, 48만4천772원으로 차이가 났다. 표준사용면적 40㎡ 이상∼60㎡ 미만 제품 5개를 비교하면 E사 제품은 가격이 30만6천900원, 유지·관리비용은 38만5천278원이지만 가격 26만9천360원과 유지·관리비용 11만1천146원인 C사 제품보다 소음이 컸고 에너지소비효율등급도 낮았다. 표준사용면적 60㎡인 제품 4개 중에서는 C사 제품이 B사 제품보다 유지·관리비용이 16만5천799원 저렴했지만 탈취효율은 높았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합리적인 구매를 위해서는 사용 공간의 면적을 고려한 적정 용량(표준사용면적)을 가진 제품 중 탈취효율·소음·가격·관리비용 등을 따져보고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가격과 품질을 비교한 정보를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 컨슈머(www.smartconsumer.go.kr)`의 `비교 공감` 란에 공개할 예정이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