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기업들이 창업 후 3~5년에 생존의 위기에 봉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에 따라 정책수요의 차이도 많았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제조업체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과제’ 조사결과, 창업 후 가장 어려운 시기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32.2%가 ‘창업 후 3-5년’이라고 답했다. 이어 ‘창업 후 11년 이상’(24.4%), ‘창업 후 2년내’(22.1%), ‘창업 후 6-10년’(21.3%)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창업 후 2년이 지나면 본격적인 제품생산에 돌입하면서 자금 수요가 높은 데 비해 매출규모가 작고 신용도가 다소 낮아 외부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중소기업에서 중견·대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에 대해서는 기업자체 역량이 미흡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애로요인으로 응답기업의 40.4%가 ‘기업자체의 성장역량 확보 부재’를 꼽았고, 이어 ‘중국 부상, 대외경제여건 등 환경요인’(38.8%), ‘정부지원의 축소에 따른 성장기피’(19.9%)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대부분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역량을 보유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응답기업의 21.2%만이 ‘이미 보유’하고 있다고 답한 반면 78.8%가 ‘아직 미보유’한 것으로 답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기업이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체성장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을 꾸준히 키워나가야 하며 정부는 R&D, 인력 등 기업역량 향상에 정책지원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생존에 어려움을 겪는 창업 후 5년이내 기업, 중소기업 졸업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 수출중소·중견기업 등에 대해서 정책의 우선순위를 높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