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정세변화의 기대가 제기된 5월이 시작됐다. 북한이 반발했던 한미 독수리연습이 끝났고, 향후 새 정부의 대북정책을 조율할 한미정상회담(7일)이 며칠 앞으로 다가온 1일 정부는 북한의 선(先)변화가 악화된 남북관계 변화의 출발점이라는 대북 메시지를 다시 발신했다. 특히 북한의 통행제한과 근로자 철수로 시작된 개성공단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의 부당한 조치 철회밖에 정상화의 길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한마디로 개성공단 사태의 근본 원인과 이를 해결할 책임이 모두 북한에 있다는 `결자해지`를 요구한 셈이다. 이런 변화가 없을 경우 미지급 임금 문제 등을 놓고 진행중인 북한과의 실무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개성공단에 마지막까지 남은 우리측 인원 7명을 모두 귀환시키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개성공단 사태가 불거진 직후부터 일관되게 북측의 책임과 태도 변화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보내왔다. 북한이 국내 언론사의 북한 최고존엄 모독과 김관진 국방장관 발언 등을 개성공단 차단의 빌미로 삼은 것을 `부당하고 비이성적인 요구`로 규정하고, 원칙 없는 타협에 나설 뜻이 없음도 분명히 밝혔다. 일단 북한은 이번 사태의 책임을 우리 측에 덮어씌우는 기존 입장을 물러서지 않고 있다. 북한의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은 전날 논평에서 "괴뢰들이 개성공업지구에서 인원을 철수하든 말든 개의치 않는다"며 "괴뢰들이 개성공업지구마저 완전히 깬다면 민족이 절대로 용서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조선의 이런 언급은 개성공단 사태의 책임을 남측으로 돌리는 것이지만 북한이 현 상황에서 먼저 개성공단을 완전히 폐쇄하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은 낮은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낳았다. 일단 북한은 우리측의 `대화제의 유효` 입장에 별다른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개성에 남은 마지막 `7인 채널`을 통해서도 우리는 북측에 개성공단 정상화 문제를 위한 당국간 대화 제의를 전하면서 북한의 응답을 촉구하고 있지만 별다른 대답은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아직 개성채널을 통해 정상화 협의까지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아직 우리의 대화 제의에 대해 북한이 답이 없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