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동해안의 최대 역사가 될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이 곧 착공에 들어간다. 영일만대교 건설은 16년 만에 성사된 경북동해안의 숙원 사업으로 교통·물류·관광 등 포항은 물론 경북의 대표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3조2000억원 규모의 대형 토목공사 시행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엄청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남해안이나 서해안은 대교 건설이 잘 돼 있다. 그에 비해 경북동해안은 대교건설이 전무했다. 아마 영일만대교가 건설되면 그 첫번째 대교로 기록될 것이다. 영일만대교 사업은 포항시 남구 동해면과 북구 흥해읍을 잇는 18㎞의 해상 횡단로를 건설하는 것이다. 이 중 절반(9㎞가량)은 바다를 연결하는 교통망(해상교량+해저터널)이다. 사업 기간은 14년이며, 오는 2038년 개통될 예정이다. 올해 정부 예산으로 실시설계비 1350억원이 반영됐고, 연내에 입찰을 통해 시공사를 선정한다.
그런데 관건은 이 대규모 사업에 지역업체들이 얼마나 참여할 수 있느냐다. 영일만대교 건설은 대형 토목공사이며, 수중 타설 등 고난도 특수 공법이 필요한 사업이다. 따라서 대기업 중심의 `턴키(turn key·일괄수주계약) 방식`으로 공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턴키 방식은 주로 대기업이 참여하고, 기존 협력 업체에 하도급을 주는 형태로 진행된다. 다시말해 지역 중소 건설사들이 배제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돼 있다. 지역의 대형 토목공사에 정작 지역 업체들이 참여할 수 없다는 게 말이되나. 지역 업체가 전체 사업비 중 10%만 수주해도 3200억원이 지역에 떨어진다. 이는 침체된 지역 경기를 살리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 이 사업에 지역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자체는 물론 정관계 모두가 지금부터 착실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대규모 국비가 투입되는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이 대기업만의 잔치가 되는 구조는 온당치 못하다. 해당 지역 건설업체에도 반드시 낙수효과가 있어야 한다. 그것이 동반성장이며, 지방시대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약속이기도 하다. 영일만대교 사업은 지역민들이 똘똘 뭉쳐 16년 만에 이뤄낸 성과인만큼 지역건설업체의 참여도 보장돼야 한다. 대기업과 역외 기업들이 그 과실을 독식해서는 안된다. 영일만대교 공사는 대기업이 주관하더라도 지역의 기업·인력·장비·자재가 적극 활용되는 동반성장의 현장이 돼야 한다. 영일만대교 건설사업에 지역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토부는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