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40대 기혼 여성 3명 중 1명은 임신을 시도하고도 1년 이상 아이가 생기지 않는 `난임`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구나 3년 전보다 난임경험률이 6%p 이상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난임 치료 시술비 등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크게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보건복지부와 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에 따르면 현재 피임을 중단했거나 피임 경험이 없는 20~44세 기혼여성 969명 가운데 32.3%는 "임신을 시도했음에도 최소 1년동안 임신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난임경험률은 지난 2009년 같은 조사 당시의 26.2%와 비교해 6.1%P 높은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20~24세 19.2% ▲25~29세 14.2% ▲30~34세 22.9% ▲35~39세 49.3% ▲40~44세 71.9% 등으로 여성 나이가 많을수록 난임경험률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에 따라서는 직장을 가진 기혼여성의 난임경험률이 36.0%로 비취업 상태(29.3%)보다 6.7%p나 높았다. 또 동 단위의 도시 거주 기혼여성(31.4%)보다는 이외 읍·면 지역 여성(38.3%)이 난임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난임을 경험한 기혼여성 가운데 실제로 양방 병원에서 난임 때문에 진찰받은 비율은 31.5%였고, 다시 이 중 63.9%가 난임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난임 진찰을 받은 기혼여성의 49.4%, 그 남편의 75.0%은 특별한 난임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였다. 파악된 원인은 여성에서 나팔관 장애(19.3%)·배란장애(16.7%)·자궁내막 장애(10.8%), 남성에서 정자무력증(10.4%)·무정자증(8.5%) 등이었다. 난임 진단을 받고도 치료에 나서지 않은 약 36%의 기혼여성에게 이유를 묻자 58.5%는 "가능성이 없어 보여서"라고 답했고, 다음으로 많은 13.2%가 `경제적 부담`을 배경으로 꼽았다. 정부의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해 난임치료를 받은 여성 68.4%는 정확히 알고 있었지만, 31.6%는 일부만 파악하고 있었다. 특히 난임치료를 받다가 중단한 여성의 17.4%는 아예 이 지원사업 자체를 전혀 모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난임 진단을 받고 시술비 지원사업도 인지하고 있는 기혼여성 10명 가운데 8명은 이 사업의 출산율 상승 효과에 대해 긍정적(매우 도움 40.7%+조금 도움 40.7%)으로 평가했다. 전체 난임 경험 기혼여성들(20~44세)은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의 개선 사항으로 난임 치료비 지원금액·횟수 확대(39.5%), 난임치료 건강보험 적용(31.8%) 등을 요구했다. 김승권 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혼여성들의 난임 경험, 진단, 치료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현재의 난임 진단·치료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지원 대상 확대는 물론 지원 수준 향상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