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유예 법안 처리를 놓고 여야의 힘겨루기가 끝내 민주당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당장 지난 27일부터 중소기업과 50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됐다. 소상공인들이 유예 기간 연장을 처절하게 호소했는데도 민주당은 끝내 외면했다. 지난 25일 국회 본회의 직전까지 한가닥 기대를 걸었으나 끝내 유예 법안 처리가 불발됐다. 앞서 법을 시행하면서 중소기업들을 위해 2년 동안 유예 기간을 줬음에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정부와 기업에도 비판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사이 예기치 못한 고금리와 원자재 값 급등으로 인해 중소기업들의 경영난이 가중된 사정을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2년 전 중견·대기업을 대상으로 법이 시행될 때보다 파급력이 더 크다. 이 법이 적용되는 50인 미만 업체는 총 83만 7000곳으로 종사자는 800만 명에 달한다. 상시 근로자가 5명 이상이면 동네 음식점이나 빵집도 적용 대상이 된다. 여야 합의가 불발된 데는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내세운 조건 탓이 크다. 당초 민주당은 정부의 준비 부족 사과, 산업 안전 지원안 마련, 2년 후 시행 약속 등의 조건을 내걸었다. 정부·여당과 경제계가 이 같은 방안 수용을 검토해 합의가 이뤄지는 듯했으나 민주당이 산업안전보건청 신설을 요구하면서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하나의 법 시행을 위해 외청을 또 만들자는 것은 무리가 있다. 현재 산업 안전을 감독할 기관이 없는 것도 아닌데 옥상옥 조직을 신설하면 예산과 인력 낭비가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여당인 국민의힘도 이 법 통과를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하지만 내부 권력 갈등으로 입법 업무는 사실상 뒷전으로 미뤄놨다. 여야 의원들은 본연의 임무인 입법 심의를 뒤로 미룬 채 총선 공천과 표밭 관리에만 신경을 쓰고 있다. 4·10 총선을 앞두고 여야는 ‘민생’을 외치고 있다. 그러나 정작 경제와 민생을 살리기 위한 입법부의 역할은 방기하고 있는 것이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800만 영세 소상공인들은 이제 불안속에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이들의 원망이 이번 총선에 그대로 반영될 것이다. 이들의 목소리가 곧 표로 엄벌을 내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소상공인들이 이 법의 시행유예를 연장해달라며 눈물로 호소했으나 민주당은 끝내 외면했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에서 각오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