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당 대표 경선이 광주를 지역구로 하는 강기정(광주 북구갑) 후보가 사퇴하면서 범주류측 이용섭(광주 광산구을) 후보와 비주류 측 김한길 후보의 일대일 대결구도로 전환하면서 호남 표심의 추이가 주목된다.
강기정·이용섭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 대세론을 형성하는 김한길 후보에 뒤졌으나 사실상 단일화를 통해 대표 경선구도를 `호남 대 비호남`으로 만들었다.
강기정·이용섭 후보는 그간 `호남정치 복원`과 `당의 혁신`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단일화를 시도했으나 `당 대표-광주시장` 자리를 둘러싼 담합 논란이 제기된 데다 배심원제 도입을 둘러싸고 두 사람의 신뢰가 금이 가면서 외양적으로는 `아름다운 단일화`에는 실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범주류 측 호남 후보들이 단일화함에 따라 지역 표심과 범주류 측 결집 시너지 효과는 기대해볼 만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강기정 의원과 친분이 두터운 `정세균 계`와 친노(親盧)가 이용섭 후보를 지지하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있다.
범주류 성향의 광주시의원은 29일 "강기정·이용섭 의원이 광주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최소한 광주·전남 표심이 결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을 앞두고 범주류 측 대의원과 당원들도 결집하는 흐름이 잡히고 있어 김한길·이용섭 후보 간 박빙의 승부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당원들 사이에 친노·주류를 향한 대선패배 책임론이 뿌리깊게 깔려 있는 데다 당 대표는 지역대표를 뽑는 선거가 아니기 때문에 단일화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비주류 성향의 전남도의원은 "두 사람의 단일화는 누구를 위한 단일화인지 의문스럽다"며 "호남 당원들은 정권을 창출할 수 있는 강력한 야당을 바라는 것이지, 호남출신 대표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강기정·이용섭 후보의 단일화는 역설적으로 당내 계파주의를 인정하는 것으로 당 분열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비주류 성향의 모 지역위원장은 ""총선, 대선에 패배한 친노·범주류 후보가 당권을 잡을 경우 `안철수 신당`과 맞물려 민주당은 해체 소용돌이에 휩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민주당 전남도당의 한 관계자는 "강기정·이용섭 후보 단일화로 싱겁게 진행되던 대표 경선이 박진감 있게 됐다"며 "민주당 차기 당권과 안철수 신당과의 역학관계, 민주당 내 다수를 차지하는 친노·범주류의 결집 정도, 총선·대선 패배책임론, 지역위원장이 당원들에게 내린 `오더`가 얼마만큼 현장투표에 반영되느냐 등에 따라 경선결과가 결정될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