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가 지난 22일부터 오는 25일까지 사흘동안 현역 의원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국민의힘 텃밭인 TK(대구경북)의 정치구도를 감안하면 이번 여론조사는 사실상 본선 게임에 돌입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TK 국회의원 25명은 현재 전원 국민의힘 소속이다. 이번 여론조사는 현역의원을 사전 탈락시키는 이른바 `컷오프`의 자료가 될 교체지수를 산정하기 위한 것으로 무엇보다 공정해야 한다. 교체지수는 여론조사가 40%로 가장 많고, 앞서 실시한 당무감사 30%, 기여도 20%, 면접 10%가 반영된다. 하위 10%에 해당하는 현역(7명)은 컷오프 된다. 특정 지역구는 전략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 교체지수가 하위 10% 초과~30% 이하에 포함되는 18명의 현역에 대해서는 경선시 득표율이 20% 감산된다. 동일지역구에서 3선 이상을 지낸 의원들은 이 페널티마저 받으면 득표율에서 35%가 줄어든다. 참으로 냉혹한 잣대다. 이 지점에서 상기할 대목은 어떤 형식이든 국민의힘은 민의의 수렴을 정확히 하고, 또 새 인재 수혈을 선거구민의 의향에 맞춰 실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어떤 후보도 납득할 수 있는 시스템 공천이어야 한다. 민의 수렴이란 측면에서는 되도록이면 예비후보자 간 경선이 펼쳐지도록 하면 명분도 선다. 격렬하고도 공정한 당내 경선은 정당 민주주의의 뿌리를 내리고, 국가 적으로도 민주주의 건전성을 뿌리내리게 하는 일이다. 전략 공천을 통한 인재 충원 또한 지역민의 여론이 반영될 수 있도록 폭 넓은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TK는 내려꽂기만 해도 당선된다는 안이한 생각을 접어야 한다. TK는 그동안 인물, 권력 충성에 길든 인사들을 공천의 비단길에 올리는 폐습이 있어 왔다. 국민의힘은 물론 한국 정당의 공천이 중앙집권적 중앙당 결정 방식을 따르고 있는 것은 다소 모순이다. 지역대표를 선택하는 선거에서 중앙당이 일일이 간섭하고, 이런저런 이유를 들어 일방적으로 후보자를 결정하는 관행은 민주적 정치가 아니다. 이런 중앙당 위주의 공천은 당장은 몰라도 장기적으로 지역 시·도당들의 파행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국힘의 공천룰에 대한 논란의 불씨는 아직 완전히 사그라들지 않았다. 언제 다시 터질지 모른다. 자칫 국힘의 사천 공천에 따른 파행이 보수텃밭 TK에서 가장 먼저 일어날까 걱정된다. 이 때문에 공천은 한점 의혹없이 투명하고 공정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