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다음달 방미 기간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관심이다.
박 대통령의 양원 합동회의 연설은 우리나라 대통령으로서는 6번째로 이뤄지는 것으로 역대 대통령들의 연설문에는 대체로 북한 문제나 경제 문제 등 한미간 가장 중요한 현안이 담겼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11년 10월 연설에서 당시 미국 의회를 통과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의의에 초점을 맞추면서, 북한 문제와 관련해선 북한의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는 원칙의 일관성 유지를 강조했다.
앞서 1998년 6월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국의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에 대한 미국 지원의 당위성을 강조했고, 새 정부의 대북 기조인 `햇볕정책`에 대한 지지도 호소했다.
박 대통령의 경우 양원 합동회의 연단에서 양국간 초미의 관심사인 북한 문제에 연설의 많은 부분을 할애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초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이후 지속된 도발 위협과 이에 따른 개성공단 사태까지 한반도 안보 위기가 가장 뜨거운 이슈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2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한미간에 제일 중요한 사안이 대북 문제"라며 "북한 문제 해법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밝히고, 이에 대한 미국의 공조와 지원을 당부하는 내용이 주를 이룰 것"이라고 전했다.
박 대통령은 새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에도 공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히 응징하겠지만 북한이 핵 포기 등 올바른 선택을 한다면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새 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미국의 협력과 지원을 요청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최근의 개성공단 사태에서 보듯 북한과 대화가 어려운 만큼 동북아국가 간 다자협력방안인 `서울프로세스`를 통해 북한의 궁극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겠다는 `장기 처방전`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박 대통령은 60주년을 맞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미국의 6ㆍ25 참전 용사에게 사의를 표하는 한편 발효 1주년을 맞은 한미 FTA를 기반으로 양국의 경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도 언급할 전망이다.
한편 박 대통령은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연설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당국의 한 관계자는 "미국 의회가 국빈 방문도 아닌 공식 실무방문을 하는 박 대통령에게 양원 합동회의 연설을 초청하며 최고의 예우를 한데다 박 대통령의 영어 실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굳이 우리 말을 고집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역대 대통령 중 김영삼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은 양원 합동회의에서 한국어로 연설했고 이승만, 노태우, 김대중 전 대통령은 영어로 연설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