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4·24` 정국을 맞은 정치권은 폭풍전야 마냥 고요하지만, 수면 아래는 새판짜기에 시동이 걸리면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4·24 재·보궐선거로 국회에 입성한 김무성(새누리당)·안철수(무소속) 의원이 정치권에 몰고 올 변화의 회오리를 여의도는 숨을 죽인 채 지켜보고 있다. 먼저 가늠하기 힘든 `안풍(안철수 바람)`의 진로를 따져보는 민주통합당의 긴장수위는 점증하고 있다. 장외 정치인이던 안 의원의 원내 입성은 본격적인 정치 세력화를 알리는 서막이라는 풀이에서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의 울타리가 불안한 의원들은 `안철수 브랜드`에 올라탈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 총선ㆍ대선ㆍ보선 `트리플 연패`의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는 민주당 의원들의 `탈출 심리`와 안 의원의 독자세력화 구상이 결합하면 신당 창당은 성큼 가시권에 접어들 수 있는 유력한 시나리오로 자리잡을 것이기 때문이다. 제도권 내로 들어선 안 의원이 앞으로 빠른 속도로 지반을 다지고 넓혀 나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2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제는 개인기만 갖고선 안 되기 때문에 세력화를 시도할 걸로 본다"며 "뭔가를 보여주지 않고 시기를 자꾸 늦추면 지지자들은 또다시 지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출신의 민주당 재선 의원은 "안 의원이 속도를 낼수록 민주당 내부의 원심력이 커지는 것 아니냐"고 내다봤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5.4 새 지도부 선출 이후 민주당이 어떻게 달라지느냐에 따라 안 의원 쪽에서 10월 재·보선에 후보를 낼지, 말지가 결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권 지형 변화의 한 축으로 떠오른 김무성 의원의 행보와 파급력을 놓고서는 다소 견해가 엇갈린다. 우선 차기 당 대표로 거론될 정도의 거물급인 김 의원이 새로운 당·청 관계 형성이나 대야 협상 국면에서 무게감을 나타내길 기대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PK(부산·경남) 출신의 한 의원은 "김 의원이 당내 새로운 구심점으로 세력을 형성할 수 있다"며 "그렇게 된다면 청와대와 차별성을 부각하며 리더십을 형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당청관계의 시발점이자, 여권내 본격적인 차기 경쟁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제2인자`를 허락하지 않는 박근혜 대통령의 스타일상 운신이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는 한계론도 나온다. 신 율 교수는 "김 의원은 자기정치를 할 사람이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박 대통령에게 집중 견제를 받을 수 있는 만큼 주변에 사람이 모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철희 소장은 "대선이 끝났기 때문에 친박계는 김무성, 유승민, 최경환 그룹 식으로 분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당장은 나서면 다치기 때문에 김 의원이 상황을 주시하면서 잠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