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감사원이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교육 비리와 건설 인허가 비리를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25일 감사원 등에 따르면 감사원은 `교육지자체 임기말 비리`와 `인허가 비리`를 올해 하반기 주요 감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하반기에는 각 지자체장과 지방 교육감이 임기 말에 접어들면서 각종 비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을 염두에 둔 조치다.
감사원은 교육감 인사 비리, 사학 재단의 경영진 회계부정, 학교 공사·계약 비리 등의 부패 가능성을 집중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건설 분야에서는 공공 공사 발주기관과 각 지자체가 대가를 제공받고 공사 수주를 돕거나 인허가 편의를 봐주는 부정 사례가 있는지 주로 살펴볼 것으로 전해졌다.
지방 교육과 건설 인허가에 초점을 맞춘 것은 평소 적발하기 어려운 구조적 비리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사학 재단의 교비 횡령 사건이 끊이지 않는 데다 건설업에서도 최근 `유력인사 성접대 의혹`과 같은 인허가 비리 의혹 사건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감사원의 하반기 집중 감찰계획은 다음달 시작되는 `5대 민생비리 감찰`의 후속 조치로 분석된다.
감사원은 5월부터 교육, 토착, 세무, 건설, 경찰 등 5대 민생분야의 고질적 비리를 각 기관 자체 감사실과 함께 협력감사할 방침이다.
이번 협력감사에는 감사원 인력 100여명, 해당 기관과 지자체의 자체감사 인력 100여명 등 모두 200여명이 동원된다.
감사원 관계자는 "국민 생활과 직결되고 비리 개연성이 높은 5대 비리 취약분야를 중심으로 구조화한 부패를 일소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