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DGIST는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한상윤 교수팀이 KAIST 유경식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대기전력을 기존 대비 100만배 이하로 줄일 수 있는 광-GPU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 MIT 및 프린스턴, 유럽의 IMEC 등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이뤄낸 중요한 성과로, 경쟁 기술 대비 100만배 낮은 대기 전력 소모(<10 fW) 성능을 인정받아, 광공학 분야 최고 권위의 저널인 `Nature Photonics` 2023년 12월호에 게재됐다.  광-GPU란 빛을 이용해 수백 개의 가상 GPU를 하나의 GPU로 구현하는 기술로, AI 연산 및 양자컴퓨터 구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된다. 하지만 기존의 광-GPU는 온도가 수백도 까지 오르는 심한 발열로 인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DGIST·KAIST 공동 연구팀은 광-GPU의 단위 구성요소인 가변형 광집적회로에 MEMS 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대기전력 소모를 기존 대비 100만배 이하로 낮춰 발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했다.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한상윤 교수는 “세계 최초로 MEMS 기술을 광-GPU에 접목하는 발상의 전환으로 혁신적인 결과를 얻었다”며 “향후 초거대 AI 모델 및 양자컴퓨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DGIST 김동욱, 박영재, 김도윤 학생, KAIST 정영재 학생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Nature Photonics` 저널 2023년 12월호에 게재됐다. 해당 연구는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사업 및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