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과 기대로 가득찬 갑진년 새해 경북지역에 아주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영양군민과 봉화군민이 그렇게도 열망하고 기원하던 양수발전소가 두 지역에 동시에 건립되게 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9일 신규 양수발전소 건립 예정지로 경북 영양군과 봉화군이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두 지역은 1월 중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영양군은 한국수력원자력(주)이, 봉화군은 한국중부발전이 사업을 각각 추진하게 된다. 영양군은 일월면 용화리 일원에, 봉화군은 소천면 두음리와 남회룡리 일원에 각각 1천㎿와 500㎿ 용량의 발전소를 건립하게 된다. 총사업비는 영양군에 2조원, 봉화군에 1조원 정도 투입된다. 오는 2038년까지 발전소 건립을 완성할 예정이다. 이번에 건립될 양수발전소의 용량은 모두 1천500㎿규모로 경북은 이미 가동 중인 예천군(800㎿)과 청송군(600㎿)의 용량을 합치면 총 2천900㎿ 용량의 양수발전소를 갖추게 된다. 이는 원자력 2기에 해당하는 규모며 전국 양수발전소의 30%다. 경북은 원자력에 이어 국내 양수발전소의 최대 집적지로도 부상하게 된다. 특히 양수발전소 건립에 따른 정부 지원금을 받게 되는데, 영양군은 60년간 936억원, 봉화군은 469억원이다.두 지역은 경북도내 최오지로 인구소멸이 매우 극심한 곳이다. 지역민들이 양수발전소 유치에 사활을 건 것은 날로 쇠락하는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양수발전소 유치로 영양군의 경우 2조원 이상의 부가가치가 발생하며 8천명 이상의 고용유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 이번 양수발전소 유치를 계기로 이제 두 지역은 지역경제에 획기적 변화가 일도록 단단히 준비하고 연구를 해야 한다. 외국 사례 등을 살펴 지역경제 유발효과를 최대한 이끌어내야만 한다. 한편 관광분야는 두 지역이 가장 관심을 갖고 연구할 분야로 꼽힌다. 경북도도 경북이 전국 최대 에너지 집산지라는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기업유치나 관광산업 진작 등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책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제 지방소멸 위기 극복 대안의 하나로 에너지를 활용하는 정책과 전략으로 지역민의 열망에 부응하는 값진 결과를 창출하기를 우리 모두는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