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테러를 당하고 부산에서 치료를 받지 않고 서울행을 택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행위가 지역 의료계엔 상처만 남겼다는 뒷말이 나온다. 이 대표가 수술을 잘 마치고 회복세를 보인다고 하니 다행이다. 그런데 부산대병원에서 치료받지 않고 갑자기 서울대병원으로 옮겨 수술과 치료를 받은 이 대표의 선택에 대해서는 반발여지 많다. 의료 전달 체계를 무너뜨렸을 뿐 아니라 지방 의료진과 의료시설에 대한 불신을 여실히 드러냈기 때문이다. 결국 `제1야당 대표도 다치면 서울로 간다`는 나쁜 선례를 남긴 셈이다.
갑자기 목 부위를 급습당한 이 대표가 느꼈을 공포는 짐작할 만하다. 가족 곁에서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받고 싶은 심정도 이해한다. 하지만 부산대병원은 열악한 지방의료의 현실을 보여주는 곳이 아니다.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는 지역 내 중증 환자를 돌보던 곳이고, 4년 연속 A등급을 받은 국내 최고 수준의 외상 치료 기관이다. 오죽하면 부산시의사회가 "지역 의료계를 무시한 민주당을 규탄한다"는 성명까지 냈겠나. 부산시의사회는 "전국 최고 수준의 응급외상센터에서 모든 수술 준비가 다 되었음에도 병간호를 핑계로 수도권 상급 종합병원으로 이송했다"며 "민주당 스스로가 `우리나라 지역의료 문제의 실체`를 전 국민에게 생방송했다"고 비판했다.수도권 상급종합병원 쏠림 현상은 국내 의료계의 고질병이다. 2022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서울대병원을 찾은 환자 95만여 명 가운데 원정 환자가 46만5000명(48.9%)에 달한다. 서울의 빅 5병원에서 상경 진료를 받는 지방 환자도 매년 70만명이 넘는다. 이 대표와 민주당은 이 문제를 지적하며 공공의대와 지역의사제 도입을 추진해왔다. 수천억 원의 예산을 들여 공공의대를 세우고, 지역 의사를 배치해도 `좋은 병원은 서울에 있는 병원`이라는 인식이 바뀌지 않으면 `의료 격차 해소`는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다.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은 `잘하는 병원에서 해야 할 것 같다`며 의료기관을 서열화하고 지방과 수도권을 갈라치기 했다"는 부산시의사회 지적을 이 대표와 민주당이 깊이 새겨야 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