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대한민국도 외국인 취업자 수가 100만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15세 이상 국내 상주 외국인 수가 143만명으로 역대 최대로 나타났다. 이 중 외국인 취업자는 전년 대비 8만명(9.5%) 늘어난 92만3000명이었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문제가 불거진 가운데 취업 외국인 100만명 시대를 눈앞에 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한국은 합계출산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저치를 기록하는 가운데 나온 이번 통계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취업 외국인의 절반 이상(56.5%)이 15~30세 이하로 젊고 효율적인 노동력이라는 점은 긍정적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 한국에 오는 외국인 유학생 숫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체류 자격이 유학생인 외국인은 18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14.1% 늘었다. 한국으로 유학 온 10명 중 3명은 `교육과정이 우수해서`를 꼽을 정도로 `K에듀`도 확산되고 있다. 실제 전남 영암과 충남 당진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세한대학은 학부 졸업생을 대상으로 취업 연계 아르바이트 제도를 운영해 학생과 지역사회의 호응이 좋다. 이들은 5년 취업비자를 받은 뒤 해당 지역에서 일하며 부족한 지방 노동력을 대체하고 있다. 세한대는 현재 학부생 100명과 석·박사 과정 학생 800명 등 외국인 900명이 재학 중이다. 대구경북에도 우수한 대학들이 많다. 이들 대학도 이런 장점을 잘 살릴 필요가 있다. 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려면 외국 우수 인재에게 장기 체류 비자를 내주거나 귀화를 통해 한국 국적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올해 귀화 허가자는 5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1000명(2.5%) 줄어들 판이다. 외국인 우수 인재 유치는 지속적으로 고민해 늘려가야 할 일이다. 거주 비자 문제만이 아니라 국내 정착에 불편이 없고 오히려 세제 등 측면에서 혜택을 주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각국이 인재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심각한 저출산에 놓인 우리는 더욱 절실하다. 이민청 같은 외국인 유입과 관리를 위한 컨트롤타워를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인구소멸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외국인 귀화정책이 하나의 해법이 될 수도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