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경철기자]정부의 APEC 국제회의 개최도시 선정 작업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유치도시 경주시에 갑작스런 복병이 나타났다.
엑스포 유치에 실패한 부산이다. 정부가 보상차원으로 APEC 정상회의를 부산에 넘겨주려는 움직임이 여기저기서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부산 엑스포 유치 무산 직후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엑스포 유치는 실패했지만, 이러한 우리나라의 국토 균형발전 전략은 그대로 추진될 것이고 부산을 해양, 국제 금융, 첨단산업, 디지털의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윤 대통령의 발언배경이 APEC 정상회의 경쟁에서 부산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APEC 국제회의 경주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는 14일 경주시청 알천홀에서 100만 서명부 전달식을 열고 시도민의 간절한 염원이 담긴 서명부를 경주시에 전달했다. 경주시는 이 서명부를 증서 형태로 만들어 조만간 구성될 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회와 국회 등에 전달해 시도민의 의지와 각오를 보여줄 계획이다.경주시는 최근 김성학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 추진단’을 신설하고, 기존 운영 중이던 ‘APEC 경주 유치 TF팀’을 유치기획팀과 유치지원팀으로 나누는 식으로 전담 조직을 확대 개편했다.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공모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시는 현재 경주 유치의 당위성과 비전을 보여줄 제안서를 다듬고 있다.정부의 개최도시 공모 일정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정부는 공모에 앞서 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회와 준비기획단을 구성해야 한다. 준비위원회는 개최도시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선정위원회 회의를 통해 개최도시 선정 평가기준을 확정한다. 이후 전국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선정기준 설명회를 가진 뒤 유치신청서를 접수받는다. 유치신청서를 접수받은 이후엔 유치신청서를 심의해 후보도시를 선정하고, 이들 도시를 대상으로 현장실사와 유치계획 설명회를 가진 뒤 선정위원회 회의를 통해 개최도시를 선정하게 된다.정부는 이달 중 준비위원회와 준비기획단을 구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일정을 고려할 때 유치신청서 접수는 1월 말쯤, 개최도시 확정은 일러도 내년 4월쯤에나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또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총선과 맞물려 정치 논리가 작동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