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지난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22일 2차 총파업을 예고했다. 노조는 지난 9일, 10일 이틀간 서울 지하철 1~8호선에 대해 시한부 경고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사측의 인력 감축 계획 철회 등을 요구했다. 이번 파업은 1차 때와 마찬가지로 민주노총 소속 제1노조만 참여한다. 1차 때와는 달리 무기한 총파업을 벌일 것으로 보여 ‘교통 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문제는 시민의 발인 지하철을 볼모로 삼는 민주노총 소속 1노조의 ‘나 홀로 파업’행위다. 한국노총 소속인 2노조는 하반기 신규 채용 규모를 당초 예정했던 388명보다 272명 늘어난 660명으로 확대하겠다는 사측의 절충안을 받아들여 1차 때부터 파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바람직한 일이다.
특히 한국노총은 정부와의 대화창구인 노사정위에도 복귀할 뜻을 밝혀 국민 눈 높이에 맞는 노동운동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MZ 노조’로 불리는 올바른노조는 지난해 공사와 교섭단의 협상 결과에 따라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다. MZ 노조와 한국노총은 지난해 기준 누적 적자가 17조 6808억 원에 이를 정도로 악화된 서울교통공사의 재정 상태를 감안해 사측의 양보를 수용해 일보 후퇴했다. 게다가 사측의 절충안 제시로 올해 감축 목표 인원은 383명이 아닌 111명으로 대폭 줄게 됐다. 그런데도 1노조는 수탁 업무 인력, 2인 1조 근무 보장 인력, 정년퇴직 인력 등 총 868명을 더 뽑아야 한다는 억지 주장만 하고 있다. 노사 모두의 공멸을 초래할 수 있는 강경 일변도 투쟁방식이다. 민주노총은 MZ 세대 근로자 중심으로 탈(脫)정치를 지향하는 ‘새로고침노동자협의회’가 대안 세력으로 급부상하고 쿠팡 배송 기사들이 민주노총과 결별한 이유를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주요 경제 단체들이 파업을 조장할 수 있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개정안)’ 시행에 따른 산업 현장의 혼란을 우려하는데도 민주노총은 지난 11일 대규모 도심 집회를 열어 윤석열 대통령에게 노란봉투법의 조기 공포·시행을 요구했다. 뒤늦게나마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복귀를 결정한 한국노총을 본받아 민주노총도 노조 본연의 책무인 근로자의 권익 보호에 나서야 한다. 낡은 이념에 얽매인 정치 투쟁방식으로는 이제 국민들의 눈 높이에도 맞지 않을뿐더러 공감도 살 수 없다. 60~70년대의 국가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했던 그 정신은 어디 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