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청정지역 영양군과 봉화군이 정부가 추진중인 ‘양수발전소’ 사업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영양군과 봉화군은 80%가 넘는 산지 지형으로 300m 이상의 고도차를 이용한 낙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점이 최대 강점이다. 또 서로 인접한 양수발전소가 송전선로를 공동으로 이용하면 송전 비용이 1565억원 정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양수발전소 건설로 수몰되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100% 찬성하는 등 주민 수용성도 높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보다 같은 경북의 원전도시 경주나 울진에서 지진 또는 산불로 원전 가동이 중단됐을 경우 이를 즉각 대체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13일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영양군과 봉화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양수발전소’ 유치를 적극 건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 1.75GW(2035년 준공)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 사업을 추진중인데, 영양군과 봉화군을 비롯 전국 6개 기초자치단체가 신청서를 접수한 상태로 오는 12월 말께 최종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번 양수발전소 유치는 소멸 위험에 처한 군 단위 지역이 1곳당 최소 1조원 이상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형 국책 프로젝트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첩첩산중인 영양군과 봉화군이 이 때문에 발벗고 적극 나서는 이유다. 양 군은 올해 `양수발전소 유치 및 주변 지역 자원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 공포했고 범군민 유치위원회까지 구성해 군의회 유치동의안 의결과 범군민 결의 대회를 개최하는 등 양수발전소 유치에 전 군민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양수발전소는 전력수요가 많지 않은 시간대에 값싼 전력으로 3분 이내 발전할 수 있는 비상 전원이다. 국가적으로 큰 역할을 하는 시설”이라며 “경주와 울진 원전 12기가 생산한 전기의 절반 이상을 수도권으로 공급하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전력 공급의 길목에 있는 봉화와 영양이 양수발전소의 최적지”라고 거듭 강조했다. 원전집적지인 경북은 양수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인력과 인프라도 좋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현명한 판단과 결정을 내려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