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4월 10일)이 이제 5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군위가 대구로 빠져나간 의성·청송·영덕의 선거구 획정이 하세월이어서 지역에 출마하려는 후보들의 속을 태우고 있다. 이번 선거구획정도 양당의 잇속만 챙기려는 졸속 선거제 개편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오는 12월 12일이 내년 총선 예비후보자 등록일인 점을 고려하면 여야는 이달 중에 공직선거법 개정안과 선거구 획정을 마무리해야 한다. 하지만 선거구 획정과 국회의원 정수 등 선거제도 개편을 다룰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지난 7월 말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거대 양당만 참여하는 2+2 협의체 논의를 끝으로 4개월 동안 낮잠을 자고 있다. 정치권은 정기국회 마지막 날인 오는 12월 9일 전에 선거제 개편이 본회의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이달 말까지 여야가 합의해야 한다. 기본적인 준비 기간이 필요하고, 재외 동포들이 투표권을 행사하는 시기 등을 따지면 이달 중에는 반드시 여야가 선거제 개편 논의를 끝내야 한다. 하지만 거대 양당의 진영 대결로 인한 정치 양극화와 극단적 대립 등으로 정개특위 차원의 선거제 개편 논의는 아직 시도조차 하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각 당이 자당의 입장을 확실히 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협상 개시 시점 등도 조율하기도 애매한 상황이다. 선거제 개편이 늦어지는 이유는 여야가 선거구 획정의 기준으로 삼는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를 두고 여전히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이러다보니 당장 경북에서는 군위가 대구로 빠져나간 의성·청송·영덕 지역구가 선거구 획정 대상이다. 획정안은 예천군을 안동시와 분리해 예천군, 청송군, 영덕군, 의성군을 묶는 안과 의성군, 청송군, 영덕군, 울진군을 한 지역구로 조정하자는 안이 대립 중이다. 민주당이 제기한 또 다른 안은 생활권을 중심으로 안동·의성, 예천·영주, 영양·영덕·울진·울릉·봉화, 경산갑 하양읍·와촌면·진량읍·영천시 일원, 경산을 나머지 경산시 일원과 청도군으로 조정하는 방안도 있다. 현재로서는 의성·청송·영덕·울진을 하나로 묶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정치권의 이해타산과 맞물리면 또 다른 변수도 예상된다. 이래저래 선거구 획정 대상지역의 출마후보들의 속만 새까맣게 타들어 가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